3차례 인상, 연간 대출이자 9조6000억↑
1월 코픽스 상승 ‘변동금리’ 차주 영향
“아직도 완화적” 올해 1.5~1.75% 전망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25%로 끌어올리면서 주택담보대출금리 6%, 신용대출금리 5% 시대가 임박했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은행의 금융기관의 조달 비용이 늘어나고 수신금리가 오르면서 결국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대출 금리도 높아진다. 특히 가계대출 전체 잔액 가운데 75%에 달하는 변동금리 대출 차주들의 이자부담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금리를 가중 평균해 산출하는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COFIX) 상승이 예고돼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4일 현재 연 1.00%인 기준금리를 1.25%로 올렸다. 지난해 8월, 11월에 이은 3번째 금리 인상이다. 앞서 한은은 2020년 3월 코로나19 위기 대응 차원에서 기준금리를 1.25%에서 0.5%p 내린 후 그해 5월 0.25%p 추가 인하를 단행, 사상최저 수준인 0.5% 까지 끌어내린 바 있다. 이번 인상으로 22개월만에 코로나19 직전 수준으로 복귀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날 이주열 총재가 보인 매파적 기조에 따라 기준금리가 연내 두 차례 정도 추가 인상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가 끝나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3차례나 올렸지만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1.5%로 올린다 해도 긴축은 아니다”라며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기준금리 인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 대출자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은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25%p 오를 때마다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3조2000억원씩 늘어난다.차주 1인당 이자 부담 규모는 0.25%p씩 오를 때마다 16만1000원씩 늘어나는 것으로 산출됐다.
단, 모든 종류의 대출 금리가 동일하게 일시에 상승하고,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전체 가계대출의 73.6%(지난해 9월 말 기준)를 차지한다는 가정에 한해서다.
지난해 8월부터 현재까지 3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으니, 가계 연간 대출 규모는 9조6000억원, 1인당 차주별 이자 부담규모는 48만3000원이 늘어나는 셈이다. 그러나 이같은 수치는 지난해 9월 기준 가계대출 규모와 변동금리 비중을 기준으로 산출한 것으로, 가계대출 규모가 1850조원을 넘어서고 변동금리 비중이 더욱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실제 부담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대출금리 수준을 살펴보면 지난 14일 기준 4대 은행(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의 코픽스 기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57~5.07%수준이다. 고정형(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75~5.51%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는 연 3.44~4.73%, 전세자금대출(신규코픽스 기준)은 3.39~4.79%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변동형 주담대 금리와 신용대출, 전세대출 금리도 추가 상승이 불가피해졌다. 당장 오는 17일 은행연합회가 변동형 주담대 금리에 연동되는 코픽스를 새로 공시된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반영되지 않겠지만 지난달 시장금리 인상분이 반영돼 코픽스 상승이 예상된다. 지난해 11월의 경우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 은행권 수신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신규 코픽스가 사상 최대치인 0.26%p 상승한 바 있다.
코픽스 상승에 이어 1월 기준금리 인상까지 반영되면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6%대, 신용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의 경우 5%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기준금리가 1~2차례 더 오를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증권가에서는 한은이 하반기 기준 금리를 추가로 올려 1.5~1.75%까지 높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빚투(빚 내서 투자)족의 한숨이 깊어지는 이유다.
이에 따라 과도한 레버리지로 투자하는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 총재는 “전체 소비 규모를 감안하면 (이자 상환 부담이) 가계 소비를 제약할 규모는 아니다”면서도 “변동금리 비중을 줄이는 노력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도 “가계,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본격적인 금리상승 국면에 대비해야 한다”며 “민간 스스로 상환부담 증가에 대비해 ‘갚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빌리고, 조금씩 나누어 갚는 관행’을 통해 불필요한 부채는 줄여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