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5일 "금융기관별 대출 금리를 점검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소비자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금리가 조정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금감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 뱅커스클럽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에 참석한 후 취재진의 질문에 "처음에는 예금 금리, 그 다음에 현재는 대출 금리를 기관별로 다 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하지만 정 원장은 가계부채 관리는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계부채가 경제 제약요인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차주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확대 등 상환능력에 기반 한 대출관행을 정착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DSR은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 뜻하는 지표로, 이를 엄격하게 적용하면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난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에 따라 이번 달부터 개인별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하면 연간 원리금 합계가 연소득의 40%를 넘을 수 없다. 오는 7월부터는 총대출액 1억원 초과자로 규제가 확대된다.
정 원장은 올해 금융시장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소상공인의 경영 악화를 꼽았다. 그는 "개인사업자의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장기화로 폐업 위기에 놓인 사업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금감원은 지난해 9월 말 월간 카드매출 5만원 이상의 활동사업자 수가 182만개로 같은 해 3월 말 대비 6.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소개했다.
정 원장은 "금융사는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하고, 정부와 금융당국은 취약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미 가동 중인 프리워크아웃, 채무재조정 제도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