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현충일 메시지 논평 중 나와
“부하들 수장시키고 책임 안 졌다” 주장
“위험한 발언”이라며 제지했지만 고집
화난 최원일 “민주당 입장 기다리겠다”
더불어민주당 상근 부대변인 출신 논평가가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에 대해 “생때 같은 자기 부하들을 수장시켰다”고 말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문제의 발언은 7일 채널A '뉴스톱10' 방송 중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현충일 메시지를 논평하던 중 나왔다. 앞서 지난 5일 윤 전 총장은 현충원을 방문한 뒤 방명록에 “조국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분노하지 않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적은 바 있다.
이어 6일에는 천안함 생존자 예비역 전우회장인 전준영 씨를 만나 “괴담을 만들어 유포하는 세력들, 희생된 장병들을 무시하고 비웃는 자들은 나라의 근간을 위협하고 혹세무민하는 자들”이라고 했다. 천안함 희생자들이 문재인 정부에서 제대로 된 유공자 처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꼬집은 대목이다.
패널로 출연한 조상호 전 민주당 부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윤 전 총장이) 천안함 희생자를 만났다고 하는데 폭침설을 처음 부정한 게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며 “누가 천안함 장병들을 모욕했는지 제대로 된 내용을 파악하고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최원일 예비역 대령, 그분도 승진했는데 말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왜냐하면 그때 당시 생때같은 자기 부하들을 다 수장시켜놓고 그 이후에 제대로 된 책임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함께 패널로 출연한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은 “위험한 발언”이라며 “북한이 폭침을 한 것이지 최 함장이 다 알고 있었다는 것이냐. 최 함장이 수장을 시킨 게 아니지 않느냐. 지휘책임을 묻는다면 말의 표현을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조 전 부대변인은 “아니다. 함장이니까 책임을 져야한다. 자기는 살아남았다”며 “한미 연합훈련 작전 중이었는데 폭침을 당하는지도 몰랐다는 것은 지휘관이 책임을 져야 한다. 그래서 수장이라고 표현한 것”이라고 고집했다.
논란이 커지자 사회자가 나서 “사실관계도 있고 주장도 있겠지만 ‘수장’이라는 표현은 바로잡겠다”며 급히 진화에 나섰다.
조 전 부대변인은 법무법인 파랑의 대표변호사로 문재인 대통령 후보 캠프 경찰행정개혁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으며, 대선 이후 2017년 12월부터 약 1년 동안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대외협력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 2018년 지방선거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언론특보를 지냈고,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을 역임했다.
최 전 함장은 이날 방송과 관련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늘 방송 잘 봤다. 제가 46명을 수장했다던데 (당론인지) 더불어민주당 입장 기다린다”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