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비핵화 목표로 실무협상 중심의
외교적 접근법 취할 듯
백악관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현시점에 북미 정상회담을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29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언급한 대북 외교적 접근법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것이 포함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것은 그의 의사가 아니라고 본다"고 답했다.
사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의 접근 방식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상당히 다를 것"이라고도 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하면서도 대화 여지를 남긴 바 있다.
그는 북한이 긴장을 고조시킬 경우 "상응한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다만 '최종적인 비핵화'를 조건으로 북한과 대화할 수 있다며 대화의 문을 열어뒀다.
바이든 행정부가 그간 대북정책의 '새로운 전략'을 강조해왔다는 점, 이날 조기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서 선을 그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북한 비핵화를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실무협상 중심의 관여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은 이날 바이든 행정부 대북정책이 막바지 점검 단계에 들어섰다는 점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조만간 워싱턴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미일 안보 당국자 간 회동에서 최종 조율을 거친 뒤, 미국 대북정책의 구체적 내용이 공개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