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美 조지아주 의회, LG·SK 배터리 분쟁 합의 촉구


입력 2021.03.24 15:41 수정 2021.03.24 15:41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美 조지아주 의회, LG-SK '합의 촉구 결의안' 최종 채택

거부권 행사 기조에서 합의 촉구로 선회…"일자리 보존" 뜻 모아

SK그룹(왼쪽)과 LG그룹 로고.ⓒ각사

미국 조지아주 의회가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분쟁에 대해 양사 합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최종 채택했다.


당초 조지아주 상원은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결정을 뒤집어야 한다는 결의안을 상정했지만 협의를 통해 양사 합의를 촉구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24일 뉴넌 타임즈 헤럴드 등 외신에 따르면 조지아주 상원은 지난 23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전기차 배터리 생산과 공급망에서 미국의 경쟁력과 일자리 보존을 위해 현지 공장의 폐쇄만큼은 막아야한다는 뜻이 담겼다.


외신에 따르면 상원은 당초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발동해 ITC 판결을 뒤집어야 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상정했다.


다만 조지아주 상원 내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공장을 폐쇄하지 않는 선에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양사 합의를 촉구하는 방향으로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적 개입에 앞서 자국 경쟁력과 일자리 보호가 우선시돼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 소속 버치 밀러 조지아주 상원의원은 "SK이노베이션 공장의 손실은 조지아의 공공 및 민간 투자에 수십억 달러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 명의 사람들을 실직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민주당 소속 상원의원들은 SK이노베이션 공장이 폐쇄되지 않는 선에서의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젠 조던 상원의원은 "이들은 합의를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자리가 보존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결의안 자체는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하원 통과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다만 거부권 행사를 강하게 촉구하던 조지아주가 '합의'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미국 내 여론 형성 등에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ITC는 2월 10일(현지시간)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의 영업비밀을 침해했다고 최종 판결하며 SK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및 관련 부품·소재에 대해 10년 동안 미국 내 수입 금지를 명령했다. 다만 미국 고객사들의 피해를 고려해 포드와 폭스바겐 일부 차종엔 각각 4년과 2년의 유예기간을 허용했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