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스마트플랜트에 해외 사절단 몰려
무선주파수인식(RFID) 기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도입된 한미약품 팔탄 스마트공장에 각국 사절단의 방문이 잇따르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고형제 제조공정 과정을 습득하고, 본국에서의 기술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지난 26일 동유럽 벨라루스 보건부·경제부∙산업부 차관 등 14명이 기획재정부 주관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의 일환으로 팔탄 스마트공장을 방문했다. 지난 13일엔 중동 바레인의 보건최고위원회 의장과 사무총장,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 등 5명이 양국이 추진 중인 국가건강보험시스템 개혁 협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공장을 찾았다.
샤이크 모하메드 빈 압둘라 알 칼리파 바레인 보건최고위원회 의장은 “플랜트 내 각종 설비와 인터넷의 결합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다시 산업 현장에 적용해 효율성을 높인 점이 놀랍다”며 “한미약품의 선진 기술을 바레인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확인하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보리스 안드로슈크 벨라루스 보건부 차관은 “벨라루스는 올해 물류 분야 혁신 과제로 RFID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며 “RFID 기반 ICT와 접목해 스마트플랜트를 구현한 한미약품 사례가 무척 인상 깊다”고 했다.
중국,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독립국가연합(CIS) 국가의 고위 정책 결정자들의 방문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한 해에만 팔탄 스마트공장을 다녀간 국내외 방문자 수는 1400여 명에 달한다.
지난 2017년 완공된 팔탄 스마트공장은 연면적 3만6492㎡, 지하 1층, 지상 8층 규모로 기획과 생산, 설계, 판매, 유통 등 모든 공정을 RFID 기반 첨단 ICT와 접목했다. 연간 최대 60억정에 달하는 약을 생산할 수 있다.
한미약품은 스마트공장을 통해 글로벌 제약회사들을 대상으로 한 위수탁 개발∙생산(CDMO)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CDMO는 단순히 주문을 받아 생산을 대행하는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과 달리 발주기업이 요구하는 의약품의 기획부터 연구, 개발, 상용화에 따른 대량생산 등 모든 과정을 수행한다.
박재현 한미약품 전무(팔탄 공장장)는 “한미약품의 ICT 기술과 노하우를 국가와 산업의 경계를 넘어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 기쁘다”며 “한미약품의 글로벌 브랜드 강화와 해외 진출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