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찰, 'BMW 결함은폐 의혹' 은폐 정황 확보…임직원 추가 입건


입력 2018.12.30 10:54 수정 2018.12.30 10:55        스팟뉴스팀

"국토부 의혹' 은폐 정황 확보…임직원 추가 입건

지난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김경욱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과 박삼수.류도정 민관합동조사단장이 BMW 화재사고에 대한 최종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수입차 브랜드 BMW가 차의 결함을 알고도 은폐해왔다는 국토부의 조사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그간 관련 의혹을 수사해온 경찰 역시 이를 사실로 볼 만한 정황을 확보하고 임직원들을 추가로 입건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30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최근 BMW코리아 상무 1명과 직원들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추가 입건했다. 경찰은 이들을 상대로 차량 결함을 미리 알고도 '늑장 리콜' 했는지 여부와 함께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 등 '윗선'의 개입 여부도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은 BMW코리아가 지난 2015년부터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결함을 알고 있었다는 국토부와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대해 "수사 과정에서 파악한 정황"이라고 밝혔다.

당초 BMW 차주들이 이 회사 독일 본사와 한국지사 회장 등을 고소함에 따라 수사에 나선 경찰이 피고소인뿐 아니라 실무자, 업무 관련성이 있는 임원까지 추가로 입건하며 수사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경찰은 이와함께 지난 8∼9월 BMW코리아 사무실과 EGR 부품 납품업체 본사, 연구소 등을 압수수색 해 확보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BMW의 결함은폐 의혹은 올 여름 해당 회사의 차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하면서 불거졌다. 계속되는 불에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BMW는 올해 7월 "2016년부터 유럽에서 비슷한 엔진 사고가 있어 원인 규명을 위해 실험해왔는데 최근에야 EGR 결함이라는 결론이 나왔다"는 취지의 설명과 함께 리콜을 시행했다.

그러나 BMW가 원인 규명 실험을 마쳤다는 설명이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국토부와 민간합동조사단은 차량에 대한 결함은폐 의혹 조사에 돌입해 지난 24일 BMW가 결함을 은폐·축소하고 늑장 리콜을 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다수 확보했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

국토부는 BMW를 검찰에 고발하고 늑장 리콜에 따른 과징금 112억 7000만원을 부과했으나 BMW는 이같은 조사 결과 발표에도 EGR 설계 결함과 늑장 리콜 의혹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