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9232억원…전년비 47.1% 증가
1월~9월 중 순익, 지난해보다 9366억 늘어…여신규모 확대 영향
연체율 0.22%p 상승 등 자산건전성 악화…당국 "리스크 관리 요구"
올해 3분기까지 상호금융조합 누적 순이익이 전년 대비 47%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체율도 동반 상승해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분기 상호금융조합 경영현황에 따르면 신협과 농협, 수협, 산림조합의 올해 1월부터 9월중 순이익은 2조 923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66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신용사업부문 순이익은 4조69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7%(1조263억원) 늘었다. 이는 여신규모 확대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 및 유가증권 관련 손익 흑자 전환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순익 증가와 함께 자산건전성은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 기준 상호금융조합 연체율은 1.56%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2%p 상승했고, 1개월 이상 부실채권 비율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0.28%p 상승한 1.68% 수준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순익 증가에 따른 자본확충과 부실조합에 대한 지속적인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상호금융조합의 순자본비율은 전년 말 대비 0.28%p 상승한 8.08%로 나타났다.
감독당국은 올들어 상호금융조합 순이익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순자본비율 또한 개선되는 등 양호한 경영실적을 시현한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올들어 연체율이 지속 상승하는 등 자산건전성이 저하되고 있어 지표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안정세를 보이는 가계대출에 비해 개인사업자대출과 법인대출은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개인사업자대출과 법인대출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며 "올해 결산시 대손충당금의 충분한 적립, 부실채권의 적극적 처리 등을 유도해 조합의 재무구조 건전화와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는 한편 취약 가계·개인사업자 차주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상호금융 이용자 보호를 위한 권익제고 및 불합리한 관행개선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