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사회적금융에 1000억원 투입…은행선 기은 '최고'-수협 '최저'
금융위, 19일 기재부·금감원 등 유관기관과 제2차 사회적금융협의회 개최
공공부문 연내 목표치 기달성…은행연합회, 연내 관련 모범규준 마련키로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한 공공부문 자금공급 규모가 올들어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역시 지난해 대비 20~3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기업은행이 사회적금융 지원에 가장 적극적인 반면 수협이 가장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오전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손병두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주재로 '사회적금융 활성화를 위한 제2차 사회적금융협의회'가 열렸다. 금융위를 비롯해 기재부, 금감원, 서민금융진흥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날 협의회에서는 지난 4월 열린 제1차 협의회에서 마련된 과제 추진상황 점검과 함께 애로사항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그간 사회적금융 추진현황을 살펴보면 우선 공공부문에서는 서민금융진흥원과 신용보증기금 등 공공기관들이 대출과 보증, 투자 방식으로 사회적경제기업 등에 총 1000억원 이상의 자금 공급 계획을 밝혔고 8월 말 현재 823개사를 대상으로 1051억원 상당을 공급해 목표치를 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회가치연대기금' 설립 준비도 본격화되고 있다. 사회가치연대기금이란 사회적금융중개기관을 통해 자금을 간접 지원하는 등 도매기금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 추진 중인 민간기구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지난 2월 민간 자율로 추진단을 구성해 현재까지 총 7차례의 정기회의를 진행한 가운데 현재는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팀을 구성해 기금의 법적 형태와 향후 운영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이와함께 사회적금융중개기관 실태조사와 사회적금융 정보시스템 구축, 사회적기업 등에 대한 체계적 실적 평가를 위한 평가모형 개발 등이 현재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은행권은 올 상반기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총 1718억원 상당의 자금을 공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년간 총 지원실적의 68% 수준에 이른다. 은행들은 올 하반기에도 자금 지원에 적극적일 것으로 예상돼 2018년 총 공급규모는 지난해 대비 20~3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은행 별로는 기업은행이 492억원 수준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하나은행(471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지방은행 가운데서는 광주은행 지원규모(120억원)가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사회적금융에 가장 소극적인 은행은 '수협'으로 올 상반기 지원금액이 1800만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은행연합회는 올해 안으로 은행권 사회적금융 취급 공동기준(가이드라인)안을 모범규준으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사회적금융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필요한 인프라 구축 및 규제완화 등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오는 12월 중으로 제3차 사회적금융협의회를 개최해 올해 실적을 점검하는 한편 내년도 사회적금융 추진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