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산가족상봉에 ‘탈북자 송환’ 내건 北, 오늘 판문점 접촉 주목


입력 2018.07.25 04:20 수정 2018.07.25 06:02        박진여 기자

北 선전매체, 탈북종업원 북송 문제·이산가족 상봉 연계

8월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행사 연기 또는 무산 위기 촉각

정부 “관련 협의서 언급 없어…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

남측 수석대표인 박경서 대한적십자 회장과 북측 수석대표인 박용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부위원장이 지난 6월 22일 오전 강원 고성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8.15 이산가족 상봉 협의 등 인도적 사안 논의를 위한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北 선전매체, 탈북종업원 북송 문제·이산가족 상봉 연계
8월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행사 연기 또는 무산 위기 촉각
정부 “관련 협의서 언급 없어…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


북한 매체가 집단탈북자의 북송 문제를 이산가족상봉 행사와 함께 연계해 요구하면서, 오늘 예정된 판문점 접촉이 어떻게 전개될 지 주목된다.

남북은 25일 판문점에서 8.15 계기 이산가족상봉 신청자들의 생사확인의뢰서를 상호 교환할 예정이다. 남북적십자사는 지난 3일 이산가족상봉 신청자 가족들의 생사확인 의뢰서를 주고 받고, 그 결과가 담긴 회보서를 오늘 교환한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은 최종 대상자 100명씩을 각각 정해 내달 4일 최종적인 상봉 명단을 주고 받는다. 확정된 이산가족 상봉 대상자는 8월 20일~26일 금강산에서 개최되는 이산가족상봉 행사에서 그리운 가족들을 만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북한 선전매체가 집단탈북자의 북송 문제를 거론하며 이산가족상봉 행사가 무산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상봉 신청자의 생사확인을 담은 회보서가 순조롭게 교환될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대남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와 '메아리' 등은 최근 "우리 여성 공민들의 송환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지 않으면 일정에 오른 북남 사이의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은 물론 북남관계에도 장애가 조성될 수 있다"며 "우리 여성공민들을 공화국의 품으로 즉시 돌려보냄으로써 판문점 선언 이행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자료사진) ⓒ통일부

대남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와 '메아리' 등은 최근 "우리 여성 공민들의 송환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지 않으면 일정에 오른 북남 사이의 흩어진 가족, 친척상봉은 물론 북남관계에도 장애가 조성될 수 있다"며 "우리 여성공민들을 공화국의 품으로 즉시 돌려보냄으로써 판문점 선언 이행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6년 중국 소재 북한 류경식당 지배인과 여성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북한 사건을 두고 우리 정부는 "자유의사에 따른 탈북"이라는 기본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북측은 국가정보원에 의한 '기획탈북'임을 주장하며 송환을 요구하고 있다.

북한은 탈북 종업원 송환과 관련한 발전적인 합의를 기대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이들이 자의에 의해 한국행을 택했으며, 정부 주도로 탈북민 송환이 이뤄진 점이 없다는 점을 들어 현재로서는 송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남북이 8.15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하기로 합의하면서 이산가족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북한이 탈북 종업원 문제를 들고 나오면서 상봉 행사가 무산되거나 연기될 위기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자료사진) ⓒ데일리안

이 가운데 하루 하루 시간이 갈수록 애가 타는 건 바로 이산가족이다. 남북이 8.15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하기로 합의하면서 이산가족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북한이 탈북 종업원 문제를 들고 나오면서 상봉 행사가 무산되거나 연기될 위기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두고 북한이 돌연 탈북 종업원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행사 준비를 위한 '시간 벌기'라는 해석이 나온다. 북측 이산가족들은 대부분 고령 등으로 사망했거나, 소재지 파악이 어려워 상봉 행사 준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전언이다.

우리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행사 준비를 위한 남북 접촉에서 탈북 종업원 문제가 거론되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며 관련 북한 매체의 보도에 대해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통일부는 내달 예정된 상봉행사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는 한편, 이후 차기 적십자회담 등을 통해 전면적 생사확인과 고향방문, 상봉 정례화 등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