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가을 남북정상회담, 한반도 평화·번영 본격 추진”
조명균 통일부 장관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남북관계 지속가능한 제도화 단계 진입 초점
조명균 통일부 장관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남북관계 지속가능한 제도화 단계 진입 초점
핵·미사일, 말폭탄, 제재와 압박으로 살얼음판을 걷던 한반도 정세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여를 계기로 대화·협력 국면을 맞았고, 2018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져 한반도 비핵화 합의에 이르렀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역사적인 판문점 선언을 도출한 4.27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5.26 번개회담으로 2차 만남을 가졌다. 두 정상은 이 자리에서 북미정상회담 재개 및 남북 판문점선언 후속 조처 등을 논의했다.
이제 3차 정상회담이 눈앞이다. 앞서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대로 남북 두 정상은 올 가을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열기로 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가을에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에서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단계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2일 취임 1주년을 맞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남북관계가 지속가능한 제도화 단계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춰서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반도 평화는 비핵화와 종전선언, 번영은 남북 경제협력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반도 번영의 핵심은 남북 경제협력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를 대북제재 완화 국면과 연결하는 것은 조심스럽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경협을 본격 이행할 단계가 왔을 때 시간적 간격을 최대한 좁혀서 바로 경협에 착수할 수 있게 준비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고위급 후속회담이 예정된 가운데, 정부는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상호 촉진하는 선순환 구도로 협력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조명균 장관은 "북미정상회담 후 북미 간 서로 실무적인 준비를 거쳐 본격적인 후속협상에 들어가는 단계"라며 "남북 간 여러 대화와 교류, 북미관계 진전을 바탕으로 해서 가을 정상회담에서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단계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 장관은 오는 4~5일 열리는 남북통일농구대회의 남측 방북단장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한다. 이번 방북에는 조 장관과 대표단, 선수단 등 총 100명이 방북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