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리 “국경없는 식품안전, 국민적 요구 높아져”
생산-가공-유통-조리-보관 통합관리 대응체계 구축
수입식품 안전 관리 강화, 통관 안전감시 과학화
생산-가공-유통-조리-보관 통합관리 대응체계 구축
수입식품 안전 관리 강화, 통관 안전감시 과학화
이낙연 국무총리가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식품안전에는 국경이 없다. 대한민국도 식품안전관리를 체계화, 과학화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11일 오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제17회 식품안전의 날 기념식에 참석하고 축사를 통해 “식품안전에 대한 인류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며 이와 같이 말했다.
그는 식품안전 요구 확대에 대한 이유로 ▲수명연장과 생활개선으로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고조 ▲식품의 생산-가공-유통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면서 그에 대한 사람들의 불안 확대 ▲세계화에 따라 식품의 생산-가공-유통의 과정이 눈에 보이지 않음 ▲기후변화로 생태계가 바뀌고 동식물이 광범한 영향을 받기 때문 등을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변화는 지역적이거나 국내적이 아니라 지구적”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식품안전에 위기가 생기면, 그것이 지역이나 국내에 머무르지 않고 곧장 세계로 확산된다”고 지난해 유럽에서 시작해 한국으로 퍼진 살충제 계란 파동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미 세계 각국은 식품안전의 평가 기준을 높이고,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식품안전관리를 체계화, 과학화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조리-보관의 모든 과정을 통합관리하는 범정부대응체계를 총리 중심으로 구축했고 수입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고, “사람과 동물과 환경의 건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관련 전문가들이 공동대응하는 원헬스 시스템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과학기술이 식품안전에 기여하도록 식품안전기술을 육성하려한다며 기능성 식품 같은 미래형 식품산업을 진흥하면서 첨단의 안전기술을 접목해 가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