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8일 국회 정상화 '불발'…드루킹 특검 대치 장기화
野 "민주당이 특검 수사 범위에 합의 안해"
추경안 동시 처리 시기도 입장 엇갈려
여야는 8일 국회 정상화에 합의하는 데 끝내 실패했다. 드루킹 특검 시기와 방식 등에 대한 절충안 도출에 실패하면서 여야 줄다리기는 장기화할 전망이다.
당초 민주당은 특검과 추가경정예산안을 동시 처리하자는 입장이었고,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선(先) 특검·후(後) 추경 처리로 맞섰다.
이후 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는 오는 14일 드루킹 특검과 추가경정예산안, 의원 사직서 등 동시 처리를 제안했고, 민주당은 14일까지 추경안 심사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반대했다.
이같은 대치 속에 각 당 원내지도부는 저녁 비상의원총회를 소집하고 소속 의원들에게 상황을 보고했다.
민주당과 한국당은 이날 이후에도 협상을 이어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다만 바른미래당은 협상이 최종 결렬 됐다는 입장이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의총 직후 취재진과 만나 “국회 정상화를 위해 향후 협상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14일 추경은 물리적으로 불가하다는 것이 저희 의견”이라며 “일자를 다시 잡아 동시 처리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윤재옥 한국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의총 직후 “오늘은 협상이 결렬됐지만 국회 정상화와 특검 수용을 바라는 국민적 기대를 저버릴 수 없기 때문에 협상은 내일도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김성태 원내대표의 단식투쟁도 계속된다”고 말했다.
또 “민주당에서 원내대표단 교체 시기 때문에 수사 대상을 합의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라며 “현 민주당 원내지도부가 (오는 10일) 임기를 마칠 때까지는 (협상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본다”고 했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민주당이 특검을 수용하겠다고 하더니 특검 수사 범위는 합의해 줄 수 없다고 국민을 기만해 협상이 결렬될 수밖에 없었다”며 “우리가 제시한 최종 특검 수사 범위에 대해 2시간 반동안 검토하다 결국 현 원내대표단이 합의해 줄 수 없다고 최종 통보했다”고 했다.
앞서 김 원내대표는 의총 전 당 소속 의원들에게 “여야 협상이 최종 결렬 됐다. 의총과 동시에 철야농성에 돌입할 예정”이라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