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의장, 8일 오후 2시까지 여야 합의 통보
한국, 與 특검수용 않을시 5월 국회끝 최후통첩
정세균 의장, 8일 오후 2시까지 여야 합의 통보
한국, 與 특검수용 않을시 5월 국회끝 최후통첩
야당이 조건 없는 드루킹 특검 수용을 강조하며 더불어민주당을 압박하고 있다. 야당은 정세균 국회의장이 제시한 데드라인인 8일 오후 2시까지 특검을 받지 않을 경우 5월 국회는 없다는 입장이다.
만약 5월 국회가 무산될 경우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 비준을 비롯해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 민생·경제 법안 처리 등이 무산된다. 때문에 여당이 야당의 압박을 손놓고 있을 처지는 아니다.
자유한국당은 전날 국회에서 비상 의원총회를 열어 오전 여야 협상 결렬 책임이 드루킹 사건에 대한 민주당의 수동적인 태도에 있다고 주장했다.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오전 여야 회담에서 사실상 ‘무늬만 특검’인 유명무실한 특검을 하자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 특검법안 처리도 민주당이 ‘비토권(거부권)’을 갖기로 하면서, 대통령 입맛에 맞지 않는 특임검사를 수용할 수 없다는 꼼수”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한국당은 5월 국회가 정상화되면 추경을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한다”며 “8일 데드라인까지 민주당과 협상이 성사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도 민주당이 드루킹 특검을 수용하는 조건으로 추경 동시처리 카드를 꺼내든 것과 관련해 “교활한 제안”이라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추경이 합의되지 않으면 특검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이렇게 국정에 대한 책임이 없고 야당과 수 싸움하는 여당은 처음 봤다”고 질타했다.
반면 민주당은 야당이 요구한 드루킹 특검을 수용했지만 국회 정상화 협상이 결렬됐다고 야당의 책임론을 부각했다.
강훈식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더불어민주당은 소위 ‘드루킹 특검’을 수용할 수 있다고 조정안을 제시해 특검 불가라는 원안에서 양보했다”며 “(야당은) 오로지 드루킹 특검을 대선불복 특검으로 만들어 정권에 흠집을 낼 생각, 그래서 지방선거에서 이득을 볼 생각, 그것 밖에 없었다”고 비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