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정은, 남북정상회담 마치고 北으로 귀환…12시간의 만남


입력 2018.04.27 22:02 수정 2018.04.27 22:48        박진여 기자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27일 오전 판문점에서 남측 문재인 대통령과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인사를 나누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남측 문재인 대통령과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판문점 선언문에 서명한 뒤 포옹을 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27일 판문점 우리 평화의집에서 열린 2018 남북 정상회담이 오후 9시 30분께 환송식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날 오전 9시 30분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손을 몇 번이나 맞잡으며 인사를 나눴다.

두 정상은 평화의집 회담장으로 이동해 오전 회담 일정을 소화한 뒤, 각각 점심식사와 휴식시간 후 오후 4시 30분께 식수 행사로 오후 일정을 맞았다.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남측 문재인 대통령과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도보다리 산책 회담을 갖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남측 문재인 대통령과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도보다리 산책 회담을 갖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이어 도보 다리 산책으로 30여분 간 자유로운 대화를 이어갔다.

이어 두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구상이 담긴 공동 합의문을 도출해 발표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핵심 의제인 비핵화 문제에 대해 "남과 북은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였다"고 명시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 국무위원장이 27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에서 열린 납북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에 서명한 뒤 함께 손을 들어 올리는 가운데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내외신 취재진들이 생중계 화면을 보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남북이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적극 협력해나간다는 목표다.

이날 남북 정상 간 공동선언문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으로 명명됐다. 앞서 공동발표문을 '4.27 선언'이나 '판문점 선언' 중 명시할 것으로 점쳐졌으나, 평화·번영·통일의 의미가 담긴 판문점 선언으로 최종 명명됐다.

이어 김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 여사가 판문점에 도착하면서 남북 정상 내외의 역사적인 첫 만남이 성사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 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27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제주도 오연준군의 '고향의 봄'을 들은 뒤 박수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이어지는 환영 만찬 자리에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평화와 번영, 관계발전에 대한 희망적인 메시지를 나누며 축배를 들었다.

마지막으로 평화의집 야외무대에서 개최된 공연을 끝으로 김 위원장 내외의 환송식이 마무리됐다.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남측 문재인 대통령과 영부인 김정숙 여사, 북측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 등이 환영만찬에서 건배를 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