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김정은과 27일 저녁 ‘옥류관 냉면’ 먹는다
文 "만찬에 옥류관 평양냉면이 좋겠다" 제안해 성사
양 정상 유년시절 보낸 부산, 스위스 음식도 올라
문재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오는 27일 남북정상회담 후 ‘평양 옥류관 냉면’을 주요메뉴로 차린 환영 만찬을 나눈다. 이는 문 대통령의 제안을 북 측이 수용하면서 결정됐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김의겸 대변인은 24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 만찬 음식으로 옥류관 평양냉면이 좋겠다’고 북측에 제안했고, 북측은 이를 흔쾌히 받아들였다”며 이 같은 내용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북측은 옥류관 냉면을 제공하기 위해 평양 옥류관의 수석요리사를 행사 당일인 27일 판문점으로 파견하고, 옥류관의 제면기를 판문점 통일각에 설치할 계획이다. 김 대변인은 “ 통일각에서 갓 뽑아낸 냉면은 만찬장인 평화의 집으로 바로 배달돼 평양 옥류관의 맛을 그대로 살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옥류관 냉면을 비롯해 또다른 주 메뉴로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각각 유년 시절을 보낸 부산의 고향음식인 ‘달고기 구이’, 스위스의 ‘뢰스티’를 우리식으로 재해석한 ‘스위스식 감자전’이 선정됐다.
또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향인 신안 가거도의 민어와 해삼초를 이용한 ‘민어해삼편수’,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 김해 봉하마을에서 오리농법 쌀로 지은 밥, 정주영 회장이 소떼를 몰고 올라간 충남 서산목장의 한우를 이용해 만든 ‘숯불구이’, 윤이상 작곡가의 고향 남해 통영바다의 ‘문어로 만든 냉채’ 등도 만찬에 오른다.
김 대변인은 “4월 27일 환영만찬은 우리 민족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애쓰셨던 분들의 뜻을 담아 준비했다”면서 “그분들의 고향과 일터에서 먹을거리를 가져와 정성스러운 손길을 더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면천 두견주와 문배술이 만찬용 술로 선정됐다. 청와대에 따르면, 면천 두견주는 진달래 꽃잎과 찹쌀로 담그는 술로, ‘백약지장(百藥之長)’으로 불리는 동시에 진달래꽃(두견화)을 의미하는 두견주로도 불린다. 평안도에서 시작된 문배술은 고려시대부터 전해오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86-가 호이자 대한민국 식품명인 7호다.
한편 청와대는 환영만찬 참석자와 환영 공연 여부 등에 대해선 일절 공개하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만찬 공연이 있느냐’, ‘정당 대표와 남북 공연단도 참석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공개하기 어렵다”면서 “공식수행원만 딱 참석하는 것이 아니라, 만찬이기 때문에 범위를 좀 넓혀서 참석한다”고만 답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