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靑 "선 핵폐기·후 보상? 北에 적용하기는 불가"


입력 2018.03.30 09:30 수정 2018.03.30 09:57        이슬기 기자

핵심관계자, 사견 전제로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방식"

"검증과 핵 폐기는 순차적으로 밟아나갈 수밖에 없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6일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청와대는 30일 ‘선 핵폐기 후 보상’을 핵심으로 하는 ‘리비아식 해법’에 대해 “북한에 적용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30일 기자들과 만나 사견을 전제로 "고르디우스의 매듭이든, 일괄타결이든, 리비아식 해법이든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운 방식을 상정하고 있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북한의 핵 문제가 25년째인데 TV 코드를 뽑으면 TV가 꺼지듯이 일괄타결 선언을 하면 비핵화가 끝나는 것이 아니다. 검증과 핵 폐기는 순차적으로 밟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미세하게 잘라서 조금씩 나갔던 것이 지난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두 정상 간 선언을 함으로써 큰 뚜껑을 씌우고 그다음부터 실무적으로 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어 ”(언론이) 자꾸 혼수나 시부모 문제를 이야기하는데, 미세하게 그런 문제가 없는 결혼이 어디 있겠느냐"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5월 말까지 만나겠다고 선언한 것에서 해보겠다는 의지를 알 수 있지 않나"라고 덧붙였다.

다만 청와대가 가진 비핵화 구상에 대해선 "테이블에 들어오는 당사자들의 생각이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우리 생각이 있다기보다 중재자로서 서로 다른 생각을 조정하고 타협 지을 것"이라고 답했다.

리비아식 해법은 미국 내 대북 강경파 사이에서 거론되는 북핵 해결 방식으로, 존 볼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가 대표적이다. 현재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구체적인 비핵화 방법론에 대해선 언급한 바가 없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