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세대극복 보고서] 수저와 밥값은 각자…그래도 인사는 해!


입력 2018.03.27 07:00 수정 2018.03.27 07:29        류현준 기자

데일리안 2030·5060세대 식당행동지침서 설문

세대막론 “수저세팅 막내가 안해도” 90% 상회

데일리안 2030·5060세대 식당행동지침서 설문
세대막론 “수저세팅 막내가 안해도” 90% 상회
5060세대 68% “인사는 기본…조건 없이 해야”


세대 차이는 극복하지 못하는 것일까. 데일리안은 2030세대와 5060세대 각 300명에게 물었다. 그 결과를 소개한다. ⓒ게티이미지

30대 신입사원 A씨의 평일 점심. 같은 부서 직원들과 식사하다 힘빠지는 경험을 했다. A씨는 “수저통은 저 멀리 있는데 막내인 내가 수저를 놓아야 하나?, 상사가 들어오면 밥 먹다 말고 일어나서 인사를 해야 하나?” 그는 혼자 고민하다 답이 없어 울고 싶어졌다고 했다.

“처음에는 소심한 내 성격을 탓했는데 친구들과 얘기해보니 비슷한 고민을 한번쯤 해봤다고 하더라. 식당에서마저 암묵적 규칙이 많다는 게 숨막힌다”고 토로했다.

20대 대학생 B씨는 최근 대학 후배와 저녁식사 중 교수님을 만났다. B씨는 “교수님이 우리를 보시고는 ‘선배가 당연히 사는 거지?’라고 했다. 같은 학생인데 나이 많은 사람이 밥을 사야한다는 인식이 의아했다”면서 “밥은 연장자가 사는 게 당연한가”라고 반문했다.

누군가에겐 ‘말하지 않아도 아는’ 규칙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겐 아니다.

데일리안은 19일부터 닷새간 2030세대와 5060세대 각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식당에서 수저세팅을 꼭 막내가 해야 하나’에 대한 세대별 답변 ⓒ데일리안

“수저세팅, 막내가 할 필요 없어”

‘수저세팅, 꼭 막내가 해야 하나’ 질문에 2030의 93.2%, 5060의 91.9%가 ‘그럴 필요 없다’고 답했다. 60대 C씨는 “그럴 필요 없지. 수저통 가까운 사람이 가져다 놓으면 되지”라 말했다.

‘밥값은 연장자가 내야하나’ 질문에 대한 세대별 답변 ⓒ데일리안

“밥값, 연장자가 낼 필요 없다”

‘밥값은 연장자가 내야 하나’ 물음에 2030세대는 88.2%, 5060세대는 81.2%가 아니다고 답했다.

50대 D씨는 “나이가 많다고 꼭 밥을 사야한다는 건 동의하기가 힘들다. 나름의 상황이 있을 수 있고, 처지는 저마다 다 다르다”라고 말했다.

‘윗사람 오면, 밥먹다 말고 일어서 인사해야 할까’ 질문에 대한 세대별 답변 ⓒ데일리안

“인사는 했으면 한다”

윗사람이 오면, 밥먹다 말고 일어나 인사해야 할까? 이 질문에 세대 간 차이가 극명하게 갈라진다. 2030세대는 36.9%만 그렇다고 답한 반면, 5060세대는 68.4%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2030세대는 인사에 조건을 붙인다. “결국 윗사람이 인성에 따라 얻어내는 거지. 인사는”이라 말한 20대 B씨는 존경을 표하고 싶은 이에게만 인사를 한다.

30대 직장인 A씨도 비슷한 생각이다. 그는 “윗사람이라고 다 인사를 하진 않아도 되지 않나. 더군다나 밥 먹고 있는데 굳이 그래야하나. 평소에 그 사람이 나한테 친하게 대해주지도 않았는데”라며 어떤 윗사람이냐에 따라 인사여부를 결정한다고 말했다.

5060세대의 생각은 다르다. 50대 D씨는 “인사는 기본 중에 기본이다. 나보다 어른이라면 당연히 인사해야 한다. 내가 뭘 하고 있건. 인사에 조건을 붙인다는 건 정말 어불성설이다”라 말했다.

60대 C씨 또한 2030세대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인사가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다. 그 다음에 하는 대화를 위한 건데. 이마저도 안하겠다면”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류현준 기자 (argos10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류현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