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이정미·심상정…평화당 장병완·이용주 하마평
첫 공동교섭단체 원내대표, 지방선거·개헌 목소리 강화
정의당, 이정미·심상정…평화당 장병완·이용주 하마평
첫 공동교섭단체 원내대표, 지방선거·개헌 목소리 강화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이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놓고 본게임에 들어갔다. 협상 테이블에 올릴 주요 안건은 교섭단체 명칭과 원내대표·주요 당직자 등 선출에 관한 건이다. 활동 기한과 중점 추진법안 등도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정이다.
양당 지도부는 20일 이같은 논의를 위해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 원내대변인이 한 자리에 모일 방침이다.
양당에선 공동교섭단체 원내대표를 1명 선출하고, 기간을 정해 번갈아 가며 대표직을 맡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정의당 최석 대변인은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대외적으로 공동교섭단체 원내대표로 한 명을 선임하게 되는데 정의당에서는 당 대표나 원내대표가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의당에서는 이정미 대표와 심상정 전 대표, 노회찬 원내대표가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이유다. 각 당 대표가 첫 공동교섭단체 대표직을 맡아 안정적으로 원내 제4정당을 이끌어가야 한다는 주장이 탄력을 받고 있다.
민주평화당에서는 조배숙 대표가 공동교섭단체 원내대표에 오르는 것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평화당 한 관계자는 "조 대표는 당을 진두지휘하는 역할로 공동교섭단체 원내대표를 겸하기에는 부담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대신 장병완 원내대표와 양당 공동교섭단체 협상 과정을 이끌고 있는 이용주 원내수석부대표가 적합하다는 주장이다.
양당 공동교섭단체 성립시 평화당 14석, 정의당 6석, 이용호 무소속 의원을 더해 총 21석을 구성할 예정이다. 이로써 국회 하반기 상임위원장 1곳을 맡을 수 있게 된다.
평화당와 정의당은 각각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의의 위원장직을 원하고 있다. 법제사법위원회와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 특별위원회의 간사직도 거론되고 있다. 향후 양당의 논의도 치열해질 가능성이 있는 대목이다.
공동교섭단체의 첫 원내대표를 맡게 되는 당에서는 당내 입지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원내대표는 우선 이번 지방선거와 개헌 논의에서 제4당으로서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만큼 양당의 신경전도 관측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