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교섭단체 목매는 민주평화당…지방선거는 언제?


입력 2018.03.06 05:00 수정 2018.03.06 05:56        이동우 기자

20석 확보 자신한 평화당, 14석에 정체

지방선거 100일 앞 속도 못내는 선거전

20석 확보 자신한 평화당, 14석에 정체
지방선거 100일 앞 속도 못내는 선거전


조배숙(오른쪽) 민주평화당 대표와 장병완 원내대표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민주평화당은 국민의당에서 분당을 선언할 당시만 해도 원내교섭단체 확보를 자신한 바 있다.

당시 중재파 의원들을 비롯해 3명의 비례대표 의원의 합의이혼 여부가 양측 협상 테이블에 오르며 가능성을 높였기 때문이다.

중재파는 그러나 각자 길을 선택했고, 비례대표 의원의 출당은 이뤄지지 못했다. 평화당은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지 못했다.

평화당은 원내 주요협상에서 배제되는 상황과 국회 상임위 배분 문제 등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는 지지율 하락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14석인 평화당이 부족한 6석을 채우기 위해 정의당과 공동교섭단체를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평화당은 5일 정의당과 공동교섭단체 확보를 공식적으로 제안하며 양당 연대를 자신했다. 하지만 정의당은 당원들과 고심해 결정할 문제라며 확답을 피했다.

정치권에선 평화당이 원내교섭단체 확보를 위해 지방선거에 투자할 시간을 뺏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이런 가운데 평화당은 5일 이상돈 바른미래당 의원을 정책연구원장으로 선임했다. 평화당은 정책정당 강화를 위한 포석이라 했지만, 비례대표 의원 출당을 거부한 바른미래당에 항의하는 인사란 분석이 더 설득력을 얻는다.

평화당이 이 의원을 정책연구원장에 선임한 것은 암묵적인 시위와 함께 현재 당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는 방증이다.

바른미래당 비례대표 이상돈·박주현·장정숙 의원은 평화당과 뜻을 같이하고 있다. 이들은 탈당하면 의원직을 상실한다. 그러나 바른미래당이 출당시키면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다.

조배숙 평화당 대표는 이날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이상돈 의원 선임과 관련해 "정책통인 이 의원이 제일 적임자라고 당내 의견 합의를 이뤄 결정한 사항"이라며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을 받았고, 당헌상 관련 조항을 마련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평화당 한 당직자는 데일리안과 인터뷰에서 "이상돈 의원이 직접 본인이 하겠다고 한 것이 아니라 지도부의 요청으로 총의를 모아 결정한 사항"이라며 "비례대표 의원들의 자기 정당 선택을 어필하기 위한 성격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바른미래당 신용현 수석대변인은 "비례대표 세 분 의원은 우리당 의원이고 앞으로 돌아올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민주평화당에서 어떤 일을 하는 것과 관련해 대응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동우 기자 (dwlee99@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동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