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펜스-北 김영남, 평창서 조우할까
리셉션 행사시 자연스레 마주치거나 악수할 가능성도
美 "동선 겹치지 않게 해달라" 일부러 피하지는 않을 듯
평창 동계올림픽이 9일 오후 개막식을 앞둔 가운데, 세계의 시선은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조우 여부를 향하고 있다.
개막식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 주최로 각국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하는 리셉션에 펜스 부통랑과 김 상임위원장의 참석이 예정돼 있다. 특히 북미 정상이 자연스레 마주치거나 악수를 나누고 인사말을 주고받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당초 미 측은 방한 전 리셉션 주최 측에 북한 고위 대표단 인사와 동선이 겹치지 않게 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다만 두 정상 모두 리셉션에 자리하고, 펜스 부통령도 의도적으로 만남을 피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조우 가능성이 점쳐진다.
미국이 대북 강경 제재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오긴 했지만, 올림픽 행사에서 적대 국가의 수반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것은 자칫 정치적 행위로 비치면서 불필요한 오해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날 리셉션에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한정 상무위원도 참석할 예정이다. 과거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6자회담’에서 만났던 당사국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이다.
일단 청와대에선 경호상의 이유로 문 대통령을 포함한 헤드 테이블의 좌석 배치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전날 미·중과의 회담석에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대화’ 테이블이 열리도록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한정 상무위원을 접견한 자리에서 "남북대화가 북미대화로 이어지도록 중국 정부가 더 많은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또한 펜스 부통령에게는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 남북대화가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정착으로 이어지길 바라며, 이를 위해 다각적인 대화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