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강자 없는 남자 쇼트트랙, 첫 금메달은?
소치 대회 때와 달리 전원 멤버 교체
10일 열리는 1500m서 첫 금메달 기대
절대 강자가 없는 남자 쇼트트랙에서 한국 선수들이 명예 회복에 성공할 수 있을까. 이번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남자 쇼트트랙은 ‘춘추전국시대’로 불릴 만큼 대혼전이 예상된다.
그동안 쇼트트랙은 한국 동계 스포츠의 효자 종목이었다. 남자는 김기훈, 채지훈, 김동성, 안현수, 이정수 등 끊임없이 스타를 배출하며 가장 확실한 메달밭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4년전 소치에서 노메달의 수모를 당하며 남자 쇼트트랙 에이스 계보가 갑작스럽게 끊겼다. 당시 러시아로 귀화한 빅토르 안(안현수)의 3관왕을 씁쓸하게 지켜봐야 했다.
그러나 소치 때와 비교해 이번 남자 대표팀은 5명 전원이 모두 물갈이됐다. 서이라(26·화성시청)를 비롯해 임효준(22·한국체대), 황대헌(19·부흥고) 등 재능있는 신예들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세대교체가 이뤄졌다는 평가다.
오는 10일 열리는 쇼트트랙 남자 1500m는 한국 선수단의 첫 금메달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라는 점에서 중요성이 높다. 무엇보다 쇼트트랙은 흐름의 종목이다. 첫 단추를 잘 꿰면 뒤이은 경기까지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
이 가운데 올 시즌 1500m 월드컵 랭킹 1위 황대헌이 가장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손꼽힌다. 항대헌은 월드컵 시리즈 1500m에서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목에 걸었다. 랭킹 4위 임효준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차 대회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바 있다.
AP통신은 한국이 쇼트트랙 남자 1000m, 1500m와 5000m 계주에서 총 3개의 금메달을 획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최국의 이점과 홈팬들의 성원이 더해진다면 한국 남자 쇼트트랙의 부활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라이벌 중국을 비롯해 네덜란드, 캐나다, 헝가리 등의 강세를 결코 간과할 수 없다.
단거리 최강자 중국의 우다징(23)은 올 시즌 500m 월드컵에서 2개의 금메달을 따냈다. 비록 1500m에서는 메달이 없지만 순간적으로 치고 나가는 파괴력이 상당해 경계 대상이다.
네덜란드 쇼트트랙의 에이스 싱키 크네흐트(29)는 올 시즌 1500m 월드컵 1차 대회 동메달, 3차 대회 은메달을 차지하며 종합 랭킹 3위를 기록 중이다. 이뿐만 아니다. 지난 1월 유럽선수권대회에서는 4관왕을 달성하는 등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다.
캐나다의 백전노장 샤를 아믈랭(34)의 절실함이 평창에서까지 이어진다면 한국 쇼트트랙의 금메달 전선에서 가장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존재다.
2014년 소치 올림픽 1500m 금메달리스트 아믈랭(랭킹 2위)은 자신의 마지막 올림픽이 될 평창에서 2연패에 도전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열린 월드컵 4차 대회 1500m에서 황대헌을 물리치고 1위를 차지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헝가리의 떠오르는 신예 리우 형제도 주목해야 한다. 리우 샤올린(23)은 월드컵 4차 대회(서울) 1000m에서 금메달을 차지하며 이번 올림픽 남자 쇼트트랙에서 최대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특히 올 시즌 월드컵 랭킹 1000m 1위, 500m 2위에 오르는 등 최근 기세가 매우 좋다.
또, 그의 동생이자 지난해 주니어세계선수권 종합 1위 리우 샤오앙(20)도 깜짝 메달 사냥에 나선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