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세븐일레븐, 1천억원 규모의 가맹점 상생 펀드 조성


입력 2018.01.25 14:12 수정 2018.01.25 14:13        최승근 기자

7대 상생안 마련…푸드 폐기 지원 최대 50%까지 확대

'Vision 2025' 전략 목표 달성 위해 7년간 약 1조원 투자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세븐일레븐은 가맹점과의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2018 가맹점 상생협약'을 경영주협의회와 체결하고 가맹점의 수익 개선과 경영주와의 공존 공영 가치 실현에 초점을 맞춘 7가지의 '7대 행복충전 상생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7대 행복충전 상생 프로그램'은 ▲1000억 규모 상생 펀드 조성 ▲푸드 폐기지원 최대 50%까지 확대 ▲상온‧냉장 상품 폐기지원 25% 확대 ▲부진 점포 회생 프로그램 ▲우수 경영주 자녀 채용 우대 및 장학금 지급 ▲우수 아르바이트 채용 우대 및 창업 지원 ▲청결 우수점포 포상 및 가맹점 동반성장 정책 지속 등이다.

세븐일레븐은 우리은행과의 제휴를 통해 1000억원 규모의 가맹점 상생 펀드를 신규 조성하고 운영 자금이 필요한 경영주들이 대출시 이자 지원을 해준다.

세븐일레븐은 앞으로도 점포 상황(상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맹점 동반성장 정책'을 계속 유지한다. 또한 금액 한도 없이 전기료 지원(50%)도 계속해 나간다.

또 중점 상품인 푸드류(도시락, 삼각김밥, 김밥)에 대한 폐기 지원 규모를 현행 20%에서 최대 50%까지 대폭 확대한다. 상온‧냉장 상품의 매출 증대를 위해 관련 폐기 지원 금액도 분기별 30만원(연간 120만원)으로 25% 확대 지원한다.

아울러 '부진 점포 회생 프로그램'을 통해 점당 연 최대 300만원 규모의 매출개선을 위한 지원과 장기간 부진 점포의 경우 해지비용을 50% 감면해 주는 출구전략방안도 경영주협의회와 논의를 거쳐 세부적인 내부 기준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세븐일레븐은 매출을 올리는 점포 경영 기법인 기본 4원칙(상품구색‧진열, 선도관리, 친절, 청결) 중 프레쉬 푸드 스토어 실현의 기본인 청결 부분의 우수 점포 등을 선정해 총 1억원 규모의 포상을 진행한다.

가맹점 복지와 관련해선 타사와 차별화된 우수 경영주 자녀 채용 우대, 고등학생 자녀 장학금 지급 등을 유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고등학생 자녀 장학금은 현재까지 누적으로 7000여명의 자녀가 혜택을 받았으며, 지원 금액은 12억원에 달한다.

그리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우수 아르바이트에게 경영주의 추천을 받아 입사 지원 시 채용 우대를 해준다. 창업을 원할 경우엔 가맹비를 감액해준다.

세븐일레븐은 가맹점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경영주와 함께 하는 가맹점 경영개선위원회도 새롭게 발족한다. 점포의 불필요한 낭비 요소를 제거 하는 등 전반적으로 가맹점의 영업 체질을 개선하는 종합 컨설팅을 수행한다.

세븐일레븐은 점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 정책도 향후 더욱 확대해 나간다. '세븐카페' 등 차별화 상품에 대한 투자 규모를 확대하고 업계 최대 규모의 ATM기(현 4000여대)를 활용해 현재 카카오뱅크, KB국민은행과의 전략적 제휴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생활 금융 서비스 등을 확대해 가맹점의 부가 수익 개선에 기여할 계획이다.

세븐일레븐은 'Vision 2025' 전략 목표인 미래 선도형 1등 편의점 달성을 위해 7년간 약 1조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다. 스마트편의점 구축, 상품 차별화 등 경쟁력 강화에 7년간 6200억원을 투자하고, 신선식품 폐기 지원금 확대 등 직접 투자에 연간 400억씩, 7년간 2800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1000억원 규모의 상생펀드까지 총 1조원 규모다.

함태영 세븐일레븐 커뮤니케이션부문장은 "가맹점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점포의 영업 체질 강화와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지원안을 마련했다"며 "향후 미래 점포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첨단 기술 혁신 부분 등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4차 산업 혁명시대를 선도하는 세계 1등 편의점으로서의 위상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