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Great Korea] 수능 절대평가의 명과 암


입력 2018.01.03 06:00 수정 2018.01.03 05:57        이선민 기자

학생들 부담 덜려 도입하는 제도…사교육 키울까

여의도고등학교에서 선생님과 학생이 성적표를 들고 가채점 점수와 비교해 보고 있다. ⓒ데일리안

학생들 부담 덜려 도입하는 제도…사교육 키울까

2017년을 가장 뜨겁게 달군 교육계 키워드이면서 2018년까지 가장 핫한 이슈로 ‘수능 절대평가’를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오는 8월 발표될 2022학년도 대학입시 개편안에 학생·학부모·교사 등의 이목이 집중돼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8월 국어, 수학, 탐구는 상대평가를 유지하면서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과 모든 과목을 절대평가 바꾸는 방안 등 2가지 수능개편 시안을 발표했으나 현장의 거센 반발에 개편을 유예했다.

진보진영에서는 진보진영대로 반발했고 보수진영에서는 보수진영대로 반발했다. 이도 저도 아니라는 지적이 이어지자 결국 교육부는 ‘1년 유예’를 선택했다.

문제는 수능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올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공부하고 있는데, 2021년 수능이 기존 방식을 따르게 되면 학생들은 내신을 위한 학교수업과 수능을 따로 관리해야한다. 실제로 개편이 1년 유예되면서 현 고1들은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

입시 관계자들은 앞으로 전과목 절대평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점치고 있다. 단계적 도입이냐 일괄 도입이냐는 교육 당국의 선택에 달렸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문재인 정부의 공약처럼 수능의 역할은 단순히 대학 진학을 할 역량이 있는지만 확인하는 선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문재인 정부가 수능 절대평가를 고집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생 부담 경감’이다.

하지만 절대평가가 도입됐을 때 대학들이 논술 등 자체 시험을 강화할 소지가 있어 그에 대한 우려도 크다. 대학별 고사를 위한 사교육 시장이 확대되고 학생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교육 현장은 오는 8월 △고교학점제 △내신 성취평가제 △고교교육 정상화 방안 및 대입 정책 등을 포괄해 공개될 ‘새 정부의 교육개혁 방안’이 한번 미뤄졌던 만큼 이번에는 국민정서에 부합하는 안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