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예산 투입, 벌써부터 올림픽 저주 걱정
경기장 사후 관리 특히 신경 써야 손실 줄일 수 있어
2011년 7월 남아공 더반에서 열린 제123차 IOC 총회에서 자크 로게 당시 IOC 위원장이 “평창”을 외치자 한국 대표단에서는 환호와 기쁨의 눈물이 동시에 터져나왔다.
3수 끝에 유치에 성공한 평창 동계올림픽. 게다가 앞서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 한일 월드컵을 치른 역사와 함께 명실상부 스포츠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순간이기도 했다.
평창 올림픽을 유치한 지 6년의 세월이 흘렀고 이제는 개최만을 앞두고 있다. 유치 당시 강원도는 물론 한국 경제에 큰 이득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측됐던 평창 올림픽의 경제 효과 현주소는 어떻게 될까.
일단 평창이라는 도시는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홍보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4년 전 러시아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의 개최지 소치가 흑해 연안에 위치한 휴양 도시에서 일약 세계적 인지도를 가진 도시로 발돋움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유치 당시 정부는 평창 올림픽으로 인해 최대 65조 원의 경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대는 2016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인한 투자 감소로 확 줄어든 상황이다.
급기야 국민들의 냉소적인 반응까지 겹쳐 ‘적자 올림픽’이 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또한 동계 올림픽이라는 한계 역시 평창 올림픽의 성공을 발목 잡는 요인이기도 하다. 동계 올림픽을 치르기 위해서는 스키장 건설부터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데 대회 이후 이에 대한 활용가치가 크게 떨어지고, 이는 개최국에 큰 손실을 안겨준다는 전례들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열린 동, 하계 올림픽은 막대한 재정적자를 안겨주고 있다.
이를 감안한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지난해 3월 발표한 4차 예산 조정에서 세입 2조 5000억 원, 세출 2조 8000억 원 등 총 3000억 원 적자가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이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선 문재인 정부다. 문 대통령은 “올림픽 후원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공기업들이 마음을 조금 더 열어주길 바란다”며 직접적으로 후원을 공개 요청했고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이 동참하며 숨통이 트인 상황이다.
공기업 후원이 해결되면서 올림픽 개최에 따르는 각종 효과 달성도 어렵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망도 쏟아지고 있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2016년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개최한 경총포럼에 참석해 평창올림픽의 경제효과가 10년간 32조 2000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가장 눈에 띌 성과는 관광객들이다. 이번 동계올림픽에는 외국인 39만 명, 내국인 220만 명이 다녀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조직위는 해외 관광객들이 입국에서 출국까지 맞춤형 정보를 받으며 경기장 관람뿐만 아니라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최첨단 정보기술(IT)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올림픽이 끝난 뒤 텅 비게 될 경기장도 문제다. 이를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하는가는 전적으로 정부와 지자체의 올바른 방향과 국민들의 참여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문제는 역시나 돈이다. 강원도가 최근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보조경기장을 포함한 전체 13개 경기장 가운데 도가 관리해야 하는 7개 시설의 운영수지를 분석한 결과 연간 101억 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사실 동계올림픽에서 흑자를 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역대 동계올림픽 중 유일한 성공적으로 평가받는 대회가 1994년 노르웨이에서 열린 릴레함메르 대회다.
당시 조직위는 경기장 신축을 최대한 자제했고, 심지어 선수촌을 가건물로 지어 사후 관리비를 대폭 줄이는 방법을 택했다. 물론 대회 후 경기장의 효율적인 사후 관리 역시 필연적으로 따랐다. 결국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경제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겉보다 내실을 기하는 방법을 택해야만 할 것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