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재개에도 '탈원전' 유지한다는 정부…"월성 1호기 가동 중단"
문 대통령 임기 내 월성 1호기 폐쇄 시점 앞당겨질 가능성↑
"정부, 신고리 건설재개 살 내주고 탈원전 추진 뼈 취한 것"
문 대통령 임기 내 월성 1호기 폐쇄 시점 앞당겨질 가능성↑
"정부, 신고리 건설재개 살 내주고 탈원전 추진 뼈 취한 것"
정부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의 건설재개 권고를 전폭 수용하면서도 '탈원전' 정책기조는 유지한다는 입장을 천명한 가운데, 연장 운영 중인 월성 1호기에 대한 조기 폐쇄 입장을 재차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방침을 밝히며, 탈원전 정책을 계속 추진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에너지 전환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전면 중단하고, 에너지 수급의 안정성이 확인되는 대로 설계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인 월성 1호기의 가동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월성 1호기 등 노후 원전이 조기 폐로될 것으로 보인다. 월성 1호기는 수명이 10년 연장돼 2022년 11월 설계 수명이 끝나는데, 문 대통령 임기 내로 폐쇄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 정부는 다음 정부에서 탈원전 기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결정으로 기존 정책노선과 다른 방향의 권고안을 받게 됐지만, 큰 틀에서는 에너지 전환정책의 핵심인 탈원전 추진 동력을 확보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두고 원전 업계에서는 "정부가 신고리 건설재개라는 살을 내주고 탈원전 정책 추진이라는 뼈를 취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