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관계자 "北 수폭실험 주장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 없어…아직 평가중"
"지금은 北 오산 위험 있어…北 억제안될 가능성 우려"
미국 정부가 수소폭탄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북한의 주장을 일단 잠정적으로 인정했다.
미 정부 고위관계자는 7일(현지시간) 익명을 전제로 한 전화 브리핑에서 "현재까지는 이번 핵실험이 수소폭탄 실험이었다는 북한의 주장에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우리는 아직 이번 핵실험에 대해 결론을 내린 것은 아니다. 여전히 이번 핵실험에 대한 평가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잠정적인 평가임을 전제하긴 했지만,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이번 6차 핵실험의 성격을 수소폭탄 실험으로 규정지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전날 외교안보 전문지 디플로매트는 미 정보기관들이 이번 핵실험의 폭발력을 140kt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폭발 메커니즘이 원자탄의 성능을 높인 증폭 핵분열탄인지 북한의 주장대로 수소폭탄인지는 분명치 않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고위 관계자는 또 "우리는 북한이 (군사적으로) 억제되지 않을 수도 있는 가능성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존재했던 종류의 억제력을 포함해 이런 핵무기들을 보유한 소수의 다른 나라와 북한과의 사이에는 사실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북한을 사실상의 핵보유국으로 용인하게 되느냐는 취지의 질문에는 "대통령이 그런 가능성을 원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그는 또 "우리와 동맹국을 보호하려는 미국의 의지를 북한 정권이 과소평가하지 않고, 오판하지 않도록 경고하면서 다소 모호한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며 "지금 당장은 그들이 오산할 심각한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 등에 첨단무기를 대량 판매하도록 허용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원하는 모든 수단을 활용해 북한을 최대한 압박하기로 약속했다"면서 "따라서 양국 정상은 한미 연합 군사력도 강화하기로 맹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공격과 방어 양면에서 한국의 군사력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를 아주 명백히 드러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폭넓은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 "이런 옵션들에는 확실히 군사 옵션이 포함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