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 사이버보안 점검…사이버테러 안전할까?
국가·지방·기업 사이버보안 주체 간 온라인보안 현주소 점검
북 6차 핵실험 뒤 사이버테러 감행 가능성…국내 대응태세 점검
국가·지방·기업 사이버보안 주체 간 온라인보안 현주소 점검
북 6차 핵실험 뒤 사이버테러 감행 가능성…국내 대응태세 점검
정부 웹사이트나 정보보안업체, 금융기관, 정부 주요인사 스마트폰을 대상으로한 해킹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국가·기업 등 사이버보안 주체 간 온라인보안의 현주소를 점검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사이버 안보를 도모하기 위해 공공·기업간 정보보호 대안을 함께 모색했다.
먼저 행정안전부는 아시아 최대 사이버보안 행사인 2017 국제 사이버 시큐리티 콘퍼런스(ISEC)를 개최해 사이버보안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기업들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를 비롯해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 현업에 종사하는 보안 실무자, 중앙부처·지자체 공무원 등 5000여 명이 함께 참석했다.
또한 글로벌 기업 '아마존웹서비스'의 피터모르(Peter Moore), '이스라엘 국가CERT(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 책임자인 마카 웨이스(Macha Weis) 등이 연사로 참여해 사이버보안에 대한 전문지식을 나눴다.
이처럼 정부와 국내외 기업이 한 자리에 모여 △미래 보안전략 △랜섬웨어 대책 △개인정보보호 △모바일보안 △지능형 보안관제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아울러 국내외 정보보호 유관기업 60여개가 참석한 가운데 IT보안, 영상정보 보호, 출입통제, 문서보안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전시하고 최신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도 가졌다.
장영환 행안부 개인정보보호정책관은 "세계 각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의 기술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며 "이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이버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전했다.
특히 북한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이 고조되면서 국내 주요 보안업체에도 비상이 걸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주요 보안업체와 통신사업자 등을 만나 사이버보안에 대한 협력을 강화했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사이버 공격 대응태세 점검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개최해 북한의 6차 핵실험 뒤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테러 가능성을 대비했다.
여기에는 KT, 안랩, 이글루시큐리티, SK인포섹 등 국내 통신사·백신업체·보안업체 관계자 등이 함께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신속한 민관 공조체제를 약속했으며, 분야별 사이버위협 사항 및 국내 대응태세 등을 점검했다.
송정수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정책관은 "공공기관과 기업에 각종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백신·관제업체는 사이버 공격 대응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며 "자체 보안관리 체계를 점검하는 한편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유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앞서 사이버공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똑똑한 보안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첫 단계로 정보화전략계획(ISP) 사업을 발주하고, ISP 결과를 반영해 사이버보안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하루에도 수천만 건의 방대한 보안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등 사이버공격이 나날이 지능화·조직화되고, 최근에는 인공지능에 의한 해킹까지 개발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체계의 혁신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에서다.
인공지능 기반의 차세대 보안체계는 △보안 예방 △관제 △대응 △분석 행위를 자동화하는 등 보안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