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文대통령, 북한 미사일 도발에 "압박·제재 사이에 대화"


입력 2017.08.08 05:03 수정 2017.08.08 08:40        이충재 기자

"도발 중단하고 대화의 길로 나오기 바란다"

트럼프 "실제 북한과 대화 시도 해봤는가"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로 대북제재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청와대

"북한은 더 이상의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의 길로 나오기 바란다."

7일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는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데 방점이 찍혔다. 이날 문 대통령은 "지금은 대화할 때가 아니다"면서도 "북한은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의 길로 나오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통화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반도 안보상황과 대북제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수화기 사이로 '대화'라는 키워드를 끼워 넣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선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올바른 선택을 할 때 대화의 문이 열려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에겐 "한일과 한미일이 북한을 완전한 핵폐기를 위한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북제재는 어디까지나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과 대화는 '주도적'…제재는 '주변국과 공감' 수준

'대화'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선 주도적으로 언급한 문 대통령은 대북제재 강화방안에 대해선 국제사회나 주변국과 '공감대'를 확인하고, 미일 양국과 '인식을 같이 하는' 수준에서만 언급했다.

과거 북한과의 대화와 포용에 주력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연장선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문재인 정부가 대북제재에 대한 소극적인 입장으로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북한과의 대화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 5일 새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국제사회의 기류를 감안하면 '대화'를 꺼낼 여건과 시기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더욱이 북한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잇따른 대화 제안에 거듭 퇴짜를 놓은 상황이다. 자칫 우리 정부가 북측에 매달리며 끌려다니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

트럼프도 "정말 궁금해서 물어본다...대화 시도해봤는가"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문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 정부의 대북 대화 제안과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에 대해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대북 대화를 말했는데 정말 궁금해서 여쭤본다. 실제로 북한과 대화 시도를 해보셨느냐"고 물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지금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거나 폐기할 때까지 제재와 압박을 해야지 대화를 할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내가 제안한 대화의 본질은 남북 적십자회담을 통한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인도적 조치와 핫라인 복원으로 우발적 충돌 방지와 긴장완화를 위한 군사 당국자 간 회담이 요체이지, 핵과 미사일과 관련한 대화 제의가 아니다"고 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