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미사일 개발 동결시키기 위해 협상 시작하는 수밖에 없어"
일본 전문가들은 북한의 지난 28일 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발사는 북미 대화 압박이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30일 이즈미 하지메 도쿄국제대 교수는 이날 아사히신문에 "북한이 지난 4일에 이어 또 ICBM 발사 성공을 과시했다"며 "로스앤젤레스나 샌프란시스코에 도달하는 ICBM을 실전 배치하기 전에 자신들과 협상 하라고 압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북한이 아무리 밉고 그들이 바라는 것들이 터무니없다 하더라도 핵·미사일 개발을 동결시키기 위해 협상을 시작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즈미 교수는 "핵·미사일 개발이 더 진전되는 것을 일단 막지 않으면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그 이유를 밝혔다.
또한 "중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한미군사훈련을 함께 중지하라고 요구한다"며 "이는 북한의 핵문제는 북미 간에 해결해야 한다는 것으로 중국이 북한에 압력을 가하는 일은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즈미 교수는 "결국 미국이 협상에 나서는 길밖에 없다"며 "일본도 북한에 대한 압력 일변도에서 벗어나 미국과 북한의 협상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히라이와 순지 난잔대 교수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북한은 미국과 대등하게 협상할 힘을 갖고 싶어한다"며 "미국독립기념일에 이어 이번 한국전쟁 휴전협정일에 발사한 것은 미국에 대한 메시지임에 틀림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북한은 미국이 군사행동을 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한다"며 "(군사행동 여부에 대한) 방침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미사일 발사를 단행했다"고 분석했다.
히라이와 교수는 "북한은 미국이 협상에 응할 때까지 미사일 개발을 계속할 것"이라며 "미국이 진지하게 나오지 않으면 한국을 지렛대로 삼으려 할지도 모른다"고 전했다.
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대 명예교수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최종 단계에 들어갔다"며 "앞으로는 핵탄두 소형화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핵실험을 단행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비장의 카드인 핵실험을 언제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가늠해 가면서 움직일 것"이라며 "결국 북한의 목적은 국제사회에서 핵 보유를 인정받아 김정은 체제를 안정시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