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미, 중국 통한 대북 '옥죄기' 강화…"북 거래 기업 단속 합의"


입력 2017.06.22 11:57 수정 2017.06.22 15:28        하윤아 기자

미-중 워싱턴서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첫 고위급 외교안보대화

웜비어 사망으로 대북 강경여론 고조…중국에 영향력 강화 요구

미국은 21일(현지시각)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중국과 첫 고위급 외교안보대화를 열고 중국 측에 대북 영향력을 더욱 높일 것을 요구했다.(자료사진) ⓒ사진공동취재단

미-중 워싱턴서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첫 고위급 외교안보대화
웜비어 사망으로 대북 강경여론 고조…중국에 영향력 강화 요구


미국은 21일(현지시각)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중국과 첫 고위급 외교안보대화를 열고 중국 측에 대북 영향력을 더욱 높일 것을 요구했다. 오토 웜비어의 사망으로 미국 내에서 북한에 대한 강령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중국을 통한 대북 외교·경제적 압박을 한층 강화하는 모습이다.

22일 미국의소리(VOA) 방송,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미중 외교안보대화 일정을 마친 후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과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중국 측에 북한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번 미·중 고위급 대화에는 미국 측 틸러슨 장관과 매티스 장관, 중국 측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 팡펑후이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이 수석대표로 참여했다.

틸러슨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모든 유엔 안보리 관련 해법을 전적으로 충실히 이행하도록 노력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며 "유엔 안보리와 각국은 이러한 노력을 함께해왔고, 중국도 이러한 역할을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은 이번 대화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제재대상에 명시된 기업과 자국 기업이 거래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미국이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과 기관에 대한 제재(세컨더리 제재)를 독자제재에 포함시킬 가능성을 우려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적극 동참키로 한 모양새다.

미국과 중국이 21일(현지시각) 외교안보대화를 갖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제재대상에 명시된 기업과 자국 기업이 거래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자료사진) ⓒ게티이미지코리아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북한 문제와 관련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의 노력에 크게 감사하고 있지만, 효과가 없었다"며 중국을 통한 대북제재 효과에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친 바 있다. 이에 미국이 더 이상 중국에만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고위급 외교안보대화를 하루 앞두고 이 같은 견해를 밝힌 만큼, 미국이 중국에 대북 원유 공급 차단 등 보다 확실한 영향력 행사를 주문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북한은 원유 수입의 90% 가량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중국의 원유 공급이 줄어들거나 차단되면 북한의 국방·경제 등 전 분야에서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사이의 지배적인 견해다. 일각에서는 대북 원유공급 차단과 같은 중국의 실효적인 조치가 없다면 대북제재의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틸러슨 장관은 중국과의 고위급 대화 후 가진 회견에서 대북 원유공급 차단 등의 문제가 논의됐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중국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동참하는데 합의한 것으로 확인돼 향후 김정은 정권의 '돈줄' 옥죄기가 더욱 강화될지 주목된다.

한편, 양국은 이번 대화에서 무역과 금융,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 IS 등 테러 공동대응, 중국의 인권 문제 등 여러 현안들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틸러슨 장관은 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말 중국을 공식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