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서울시·금융권, 보이스피싱 등 민생침해 피해예방 힘 합친다
16일 여의도 금감원서 박원순 서울시장 등 참석해 '금융범죄 근절' 협력키로
진웅섭 "일본도 지자체서 보이스피싱 관련 조례 제정...금융권도 힘써달라"
서울시와 금융감독원, 6개 시중은행이 업무협약을 맺고 금융사기 등 민생침해 피해예방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16일 오전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박원순 특별시장과 진웅섭 금감원장, 6개 시중은행 은행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민 등 취약계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악용하는 보이스피싱과 불법사금융, 유사수신 등 '3대 금융범죄' 근절에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금감원은 경찰 등 수사기관과 공조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행정자치부와 합동으로 맞춤형 피해예방 활동을 전개해나가는 가운데 지난 2015년 2400억원 규모였던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2016년 1900억원으로 2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법금융에 따른 연간 피해규모는 2016년 기준 국내 GDP의 1.6% 수준인 2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이 자리에서 "과거 금융범죄의 주요 범행수법이 기관사칭형이었다면 최근에는 햇살론 등 정부지원금을 노린 대출빙자형으로 진화하는 등 하루 평균 5억원 가량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처럼 독버섯과 같은 불법금융 근절을 위해서는 국민과 가장 접점에 있는 지자체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진 원장은 이어 "우리보다 먼저 보이스피싱 홍역을 치렀던 일본 역시 지자체들이 앞장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주민보호에 주도적으로 대처해 피해 확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며 "금융권 역시 상조가입자의 선불식 할부거래 조회를 위한 전산시스템 구축에 힘써 금융소비자의 피해 예방에 노력해 달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