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문가진단]"한·미 금리역전 영향 제한적…내년 상반기 인상 적절"


입력 2017.06.14 06:00 수정 2017.06.14 06:25        이미경 기자

이채원 한투밸류 부사장·이종우 IBK증권 센터장 "경기회복 맞춰 금리올려야"

임진 가계부채센터장 "가계부채 부담 급격히 올리는 인상은 부작용 초래"

오정근 특임교수 "미국 가파른 금리 인상 단행 대비책도 마련해야"

국내 시장전문가들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 내년 상반기가 가장 적절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경기회복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가 불확실한데다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이 상존하고 있는 올해 인상을 단행할 경우 경제 회생의 불씨마저 꺼뜨릴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통화정책 완화 조정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한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의 금리인상이 확실시되고 있지만 인상 시점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지난 12일 이 총재는 경제상황이 뚜렷하게 개선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향후 통화정책의 변화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하지만 당장 한은이 금리를 올리기에는 1300조원을 상회하는 가계부채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경제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3~14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미 연준이 이번 FOMC회의에서 0.25%포인트를 올리면 정책금리는 현재 연 0.75∼1.0%에서 연 1.0∼1.25%로 올라가게된다. 이로써 금리 상단은 한국은행 목표 금리인 연 1.25%와 같아지게 된다.

하지만 6월에 이어 오는 9월 FOMC회의에서 당초 연준이 예고한대로 연내 세차례에 걸쳐 금리인상을 단행한다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미간 금리가 역전되면 자본유출이 본격화될 수 있어 금융시장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사진 왼쪽부터)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 이종우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임진 금융연구원 가계부채연구센터장,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데일리안

전문가들 "현 기준금리 수준 매우 낮아…내년 상반기 금리 올려야"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기준금리를 올릴수 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한은이 금리를 급격하게 올리지 않는한 경제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도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미국이 금리를 단계적으로 올리는 상황에서 한·미간의 금리 역전으로 인한 자본유출에 대해서는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즉 빠르면 연말에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논의가 불을 지필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내년 상반기 금리인상에 대한 시장의 컨센서스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은 "기준금리는 기업의 설비투자나 수출개선 등 경기회복 속도에 맞게 서서히 오르는게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한은이 내년 경기회복 추이와 부동산 시장 등 예측가능한 여러 변수들을 고려해 연내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부사장은 "한은이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가파르거나 큰 폭으로 올리지 않을 것"이라며 "금리인상이 주식시장에 호재요인이라고 볼수는 없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종우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늦어도 올해 4분기부터는 금리인상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지금의 경기회복 속도가 유지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다.

이 센터장은 "금리가 너무 낮기 때문에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시장의 컨센서스가 이미 형성돼있다"며 "때문에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연내 0.25%포인트의 금리를 여러차례에 걸쳐 올린다고 해서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지 않다는 논리를 빗댄 것이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기준금리가 이미 너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한 목소리로 주장한다. 낮은 금리수준이 최근 국내 경제의 뇌관을 흔드는 가계부채 급증을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임진 금융연구원 가계부채연구센터장은 "낮은 금리가 가계부채 급증을 야기한만큼 기준금리가 올라가게되면 자연히 가계부채 급증을 막는데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다만 충격완화를 위해 금리를 신중하면서도 천천히 올려 각 경제주체들이 가계부채에 대한 계획을 짤때 적응할 시간을 줘야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한국과 미국간의 금리 역전에 따른 자본유출이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해석이 분분하다.

이채원 부사장은 "자본유출이 당장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며 "금리 차이가 조금 난다고 해서 일부 자본유출에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시장에 타격이 가해질정도의 이슈로 번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미국이 연내 몇차례에 걸쳐 금리를 올리게되면 자본유출이 불가피한데 우리경제가 외환자금의 자본유출을 감내할만큼 탄탄하지 않다고 본다"며 "미국이 연내 추가로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한국의 금융시장도 감당하기가 힘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오 교수는 "과거에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 조그만 충격에도 국내 경제에 큰 파급효과를 미쳤던 과거의 사례를 비춰볼때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유출에 대해 가볍게 보아선 안된다"며 "5%의 가능성이라도 염두해서 철저히 대비책을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