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 위장전입 등 벌써부터 '시끌'


입력 2017.05.21 17:16 수정 2017.05.21 17:19        문현구 기자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논란거리로 떠오를 전망

문재인 대통령의 '고위공직 배제원칙'에도 배치돼 우려 적잖아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외교부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강경화 유엔 사무총장 정책특보가 국회 인사청문 절차를 제대로 밟을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강 후보자 경우 장녀의 위장전입 문제는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논란 거리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문재인 대통령의 '고위공직' 배제 원칙에도 들어맞지 않다는 것이 정치권의 반응이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병역면탈·부동산투기·탈세·위장전입·논문표절' 등 5대 비리 관련자는 고위공직에서 원천적으로 배제해야 한다는 원칙을 밝혀왔다. 이에 따라 강 후보자의 경우 이런 원칙에 배치되는 부분이 있는 만큼 문 대통령의 인선 결정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

김성원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통해 "(문 대통령이 정한) 인사원칙이 무너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며 "강 후보자는 위장전입 사실만으로도 고위공직 배제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조영희 바른정당 대변인도 강 후보자 장녀의 위장전입이나 이중국적 문제와 관련해 "청문회를 통해 자격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의 '고위공직 배제원칙'에도 배치돼 우려 적잖아

문 대통령의 인사원칙에서 어긋났다는 점은 청와대도 일찌감치 인정하고 나섰다. 강 후보자 인선을 발표하면서 이례적으로 위장전입·이중국적 문제를 먼저 공개했기 때문이다.

조현옥 청와대 인사수석비서관은 "강 후보자의 장녀는 1984년 후보자가 미국 유학 중 출생한 선천적 이중 국적자로, 2006년에 국적법상 국적선택 의무 규정에 따라 미국 국적을 선택했다"며 "본인이 다시 한국 국적을 취득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조 인사수석은 "장녀가 미국에서 1년간 고등학교에 다니다가 2000년 2학기에 한국으로 전학을 오면서 1년간 친척 집에 주소를 둬서 위장전입한 사실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청와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강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열리게 되면 한국당 등 야당의 공세가 대대적으로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문현구 기자 (moonh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현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