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데일리안 여론조사] 호남 문재인 vs TK 안철수...지역민심 양분화 가속


입력 2017.04.19 11:04 수정 2017.04.19 12:32        이슬기 기자

<알앤써치 '국민들은 지금' 정기 여론조사>

호남 문재인 43.8%→57.5%, TK 안철수 33.0%→44.0% 각각 상승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좌)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우)가 19일 오전 서울 강북구 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참배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호남 문재인 43.8%→57.5%, TK 안철수 33.0%→44.0% 각각 상승

‘정치1번가’ 호남과 TK(대구·경북)가 중도진보진영 내 양강 후보로 분화되고 있다. 다만 보수의 ‘설 자리’를 고심하는 보수진영의 민심은 향후 3주 간 상당히 요동칠 거란 전망이다.

데일리안이 의뢰해 여론조사 기관 알앤써치가 무선 100% 방식으로 실시한 4월 셋째 주 정례조사에 따르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전남·광주·전북에서 57.5%를 얻어 1위를 기록했다. 전주 대비 13.7%p 오른 수치다. 반면 호남 맹주인 국민의당 소속 안철수 후보는 전주보다 18.1%p 떨어진 29.3%에 그쳤다.

지지후보를 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도 줄어들었다. 호남의 표심이 한층 확실해졌다는 의미다. 전주 조사 당시 ‘지지후보 없음’을 선택한 비율은 4.0%, ‘잘 모름’은 1.0%였다. 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 1.9%만이 후보를 정하지 못했다고 밝혔으며, ‘잘 모름’은 1.4%였다.

이와 달리 TK에선 반문(반 문재인) 정서가 더욱 또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안 후보가 전주 대비 11.0%p 오른 44.0%를 선두를 지켰다. 문 후보는 지난주 32.7%를 기록했으나, 이번 조사에선 25.0%에 그쳤다.

TK의 부동층은 호남에 비해 더욱 줄어들었다. 지지하는 후보가 없다는 응답은 5.6%에서 일주일 만에 1.5%로, ‘잘 모름’을 선택한 비율도 2.0%에서 0.8%로 하락했다. 또한 두 후보의 지지율 차이는 호남(18.2%p)과 TK(19%p)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이 정당지지도 조사에서 전주보다 3.1%p 상승했다. ⓒ알앤써치

‘살 길’ 고심하는 TK, 자유한국당 오름세가 관건

주목할 것은 TK 표심의 변화 가능성이다.

이 지역에서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29.3%로 전주보다 13.1%p 급등했다. 즉, 보수진영 유권자들이 후보 개인에 대해선 유보적이지만, 정당은 자유한국당을 지지하는 분위기가 확실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면, 홍준표 한국당 후보의 지지율도 정당 지지율을 넘지 않는 선에서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게 전문가의 전망이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의 지지율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유 후보는 지난 주 조사 당시 TK에서 4.1%를 얻었으나 TV토론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며 호평을 받았고, 일주일 사이 6.7%로 올라섰다. 향후 TV토론이 여러 차례 남아있는 만큼, 유 후보로서는 보수진영 내에서 추가 상승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한 셈이다.

따라서 보수진영 텃밭에서 자유한국당과 홍준표·유승민 후보의 상승이 계속될수록 안 후보는 동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 설사 TK에서 1위를 기록한다 해도, 2위와의 차이가 크지 않아 특정 지역에서 기반을 잡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도 있다.

김미현 알앤써치 소장은 “TK가 분명히 전략적으로 고심을 할 것”이라며 “지금은 일단 문재인에 대한 반감이 크기 때문에 안철수를 바라보지만, 이성적 판단을 하면 선거 이후에도 보수의 ‘살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생각을 할 거다. 안철수가 당선된다고 해서 보수가 살아나는 게 아니지 않느냐”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특히 “TK에서 한국당이 오름세를 보이는 데 주목해야한다”며 “후보 개인은 결국 그 정당 지지율의 추세와 긴밀히 연결된다. 또 유승민이 TV토론회에서도 호평을 받으면 다음주에는 더 오를 수 있고, 선거 기간 내 5% 마의 벽을 뚫는다면 더더욱 탄력이 붙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되면 안철수와 홍준표 간 차이가 크게 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조사는 16일부터 18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204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률은 4.7%, 표본추출은 성과 연령, 지역별 인구 비례 할당으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2.2%p다. 통계보정은 2016년 7월 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를 기반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다.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데일리안 여론조사'를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