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국 최초 생활복지 통합정보시스템…시민 건강·복지서비스 한눈에


입력 2017.04.18 17:23 수정 2017.04.18 17:25        박진여 기자

공공·민간복지기관서 분산 운영되던 정보시스템 통합 연계

고독사 위험 등 복지 사각지대 사전 발굴…복지정보화 추진

서울시는 시민이 복지를 일상생활에서 누리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복지욕구를 관리하고, 여러가지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상자 욕구에 기반한 복지·건강 통합서비스인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을 오픈했다.(자료사진) 서울시 제공

공공·민간복지기관서 분산 운영되던 정보시스템 통합 연계
고독사 위험 등 복지 사각지대 사전 발굴…복지정보화 추진

"저를 찾아온 어려운 노인부부가정에 후원이 들어온 김치를 드렸는데, 알고 보니 인근 복지관에서 또 받으셨더라고요"

"정기적으로 방문상담을 하는 대상자가 있는데 알고 보니 노인종합복지관에서 꾸준히 지속방문을 하고 있더라고요"

"도배가 필요한 대상자인데 연계할 자원이 없어 제공하지 못했는데, 알고 보니 동주민센터에서는 대상자가 없어 연계를 못했더라고요"


그간 분산된 복지시스템이 지원의 중복과 누락을 야기해온 가운데, 공공기관과 민간복지기관에서 각각 분산 운영되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한번에 통합한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이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서울에 최초로 도입됐다.

서울시는 시민이 복지를 일상생활에서 누리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복지욕구를 관리하고, 여러가지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상자 욕구에 기반한 복지·건강 통합서비스인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을 오픈했다.

해당 시스템은 복지 담당자가 언제 방문했는지, 기관에서 만난 대상자의 욕구가 무엇인지, 어떤 복지자원을 제공했는지, 그리고 복지시설·공공기관간 복지자원이 무엇인지 서로 공유하도록 설계했다. 이에 따라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는 누구를 만나든지 자신의 욕구가 기록돼 실시간으로 복지와 건강이 결합된 통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시민이 복지를 일상생활에서 누리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복지욕구를 관리하고, 여러가지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상자 욕구에 기반한 복지·건강 통합서비스인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을 오픈했다.(자료사진) 서울시 제공

복지자원, 대상자 욕구 등 축적된 데이터는 지역 내 복지욕구 분석과 복지자원의 흐름파악을 가능케해 실무자들이 어렵지 않게 지역복지 문제를 진단할 수 있게 하고, 민관이 함께 지역 내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장을 열어줘 보다 합리적인 복지정책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후 오는 5월까지 흩어져있는 자치구의 시스템을 통합·연계하고, 보훈수당 전산화 등을 통해 현장실무자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복지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복지정보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신종우 서울시 복지정책과장은 "서울시는 2020년까지 복지업무 담당자 누구라도 대상자 복지욕구를 한 번만 입력하면 공유되고 복지와 건강분야의 정보가 모아져 대상자 욕구별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연계해 줄 수 있도록 구축할 예정"이라며 "그동안 쌓인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독사 위험 등 복지의 사각지대를 사전에 발굴 할 수 있도록 복지정보화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