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민간 다중이용시설에 재난 대응 방안은?


입력 2017.04.06 17:52 수정 2017.04.06 17:54        박진여 기자

영화관·백화점·대형마트·병원…신속 초동대처로 인명·재산피해 최소화

테러·화재·침수·폭설·붕괴·가스누출·지진 등 각 위기상황 맞춤형 조치

최근 전동차 화재사고, 공사장 안전사고부터 수백명의 아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재난사고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크고 작은 재난 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민간 스스로 위기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두 팔 걷고 나섰다.(자료사진) ⓒ연합뉴스

영화관·백화점·대형마트·병원…신속 초동대처로 인명·재산피해 최소화
테러·화재·침수·폭설·붕괴·가스누출·지진 등 각 위기상황 맞춤형 조치

최근 전동차 화재사고, 공사장 안전사고부터 수백명의 아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재난사고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크고 작은 재난 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민간 스스로 위기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두 팔 걷고 나섰다.

다수가 이용하는 민간시설에서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한 초동대처로 시민의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민간다중이용시설은 연면적 5000㎡ 이상인 문화·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등으로 영화관, 대형백화점, 대형마트, 대학병원, 호텔, 버스터미널 등이 해당되며 서울시에는 현재 총 710여 곳이 있다.

서울시는 6일 오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2017 서울시 민간다중이용시설 관계자 교육'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은 자치구 공무원과 민간다중이용시설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매뉴얼을 개선하고, 초동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민간전문가의 강의가 주를 이뤘다.

특히 기존 매뉴얼을 개선하기 위한 '다중이용시설 위기상황 매뉴얼 개선 표준안'과 이에 따른 훈련방법, 장비 사용법 등의 교육이 이뤄졌다.

민간 스스로 위기상황에 대한 적정 매뉴얼을 직접 작성하고, 실제 훈련을 실시하는 등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이다.

최근 전동차 화재사고, 공사장 안전사고부터 수백명의 아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재난사고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크고 작은 재난 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민간 스스로 위기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두 팔 걷고 나섰다.(자료사진) ⓒ데일리안

개선된 매뉴얼의 주 내용은 △테러 △화재 △침수 △폭설 △붕괴 △가스누출 △지진 등 각각의 위기상황에 대비한 대응조직별 임무와 역할, 단계별 조치사항 및 응급조치 등으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이후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진분야가 새롭게 포함됐고, 중복 사항의 통·폐합, 핵심사항 위주의 단순화 및 인포그래픽 구성으로 단계별 조직 임무와 역할을 쉽게 파악하게 했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서울시는 민간 스스로 위기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계획이며, 시와 민간이 함께 협력해 시민이 안심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안전 서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