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사련 등 시민단체 "사드갈등 해소 노력" 중국에 촉구
중국대사관 앞서 "중국, 경제·문화 제재 즉각 중지하라" 호소
중국대사관 앞서 "중국, 경제·문화 제재 즉각 중지하라" 호소
주한미군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한중갈등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시민단체들이 중국 정부에 대(對)한국 경제·문화 제재를 즉각 중지할 것을 촉구했다.
범시민사회단체연합(이하 범사련)은 6일 오전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중국한국인회와 공동으로 '사드배치로 인한 한중갈등 해소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범사련을 비롯한 단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통상압박, 불매운동, 한류차단, 관광규제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함으로 한중우호가 심각히 훼손되고 있다"면서 "3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중국의 조치에 한국의 소비경제가 점차 침체 상태에 놓이고 80만 재중국 한국인 동포들 또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중 양국이 사드배치에 대해 자국의 이해를 따지지 않을 수는 없지만, 이제 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국인들의 반한 감정을 무마시키고 경제적·문화적 제제 등 제반조치를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단체들은 "한국 국민들의 감정 또한 동요되고 있는 상황이라 자칫 양국의 국민감정마저 대치될 수 있어 심히 우려된다"며 "한국 또한 중국의 사드보복을 중단 시킬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을 적극적으로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중국 국민들은 한국과의 우호관계를 손상시키는 보복·선동행위를 즉시 자제하고, 한국 국민들 또한 중국의 조치에 감정적으로 동요하지 말고 우호적 관계를 견지하자"고 한중 양국 국민들을 향해 호소했다.
이후 이들 단체는 중국 정부가 사드 문제와 관련해 슬기로운 해결책을 모색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주한 중국대사관 측에 전달했다.
이갑산 범사련 상임대표는 "이에는 이로 맞대결 하는 것은 평화를 해치고 관계를 훼손하는 낡은 방법"이라며 "정치가 국민을 잘 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정치논리를 앞세워 국민경제를 힘들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상임대표는 "사드문제로 인해 한국에 일하러 온 조선족 및 중국에서 활동하는 한국 경제인들이 직접적인 피해의 당사자가 되고 있다"면서 "경제인들과 서민들의 피해가 없기를 바라며 정치논리와 달리 양국 국민들이 열심히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