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다 된 면세점' 최순실 발목...SK네트웍스, 사업재편 ‘가시밭길’


입력 2016.11.28 08:36 수정 2016.11.28 09:36        이광영 기자

사업자 선정 연기·특허기간 연장 개정안 무산 가능성

10조원대 면세점시장 축소·관광산업 경쟁력 퇴보 우려

워커힐면세점 전경.ⓒSK네트웍스
사업자 선정 연기·특허기간 연장 개정안 통과 무산 가능성
10조원대 면세점시장 축소 및 국내 관광산업 경쟁력 퇴보 우려

면세점 사업권 탈환이 유력했던 SK네트웍스가 ‘최순실 게이트’ 변수로 위기에 직면했다. SK네트웍스는 면세점 사업과 렌털 사업을 전면에 내세워 사업재편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었지만 면세점 특혜 의혹이 불거지면서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순실게이트'의 여파로 내달 결정될 것으로 예상됐던 면세점 특허권 사업자 선정이 내년으로 연기될 가능성과 함께 사업자 추가 선정마저 중단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내 관광산업의 경쟁력 퇴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지난 24일 거액의 돈을 미르재단에 출연하고 그 대가로 면세점에 대한 재승인 조건을 내세운 의혹으로 롯데그룹과 SK그룹을 압수수색했다. 하지만 검찰 수사가 지난해 면세점 사업자 선정에서 탈락한 롯데와 SK에 쏠려있다는 점이 과도한 표적수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지난 25일 조세소위를 열어 정부가 제출한 관세법 개정안을 당장 처리하지 않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5년 주기 특허 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는 관세법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국내 관광산업의 경쟁력이 퇴보할 수 있다는 업계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국내 면세점 50곳에서 올린 총 매출은 8조9000억원이다. 지난해 전체 매출(9조1984억원)과 맞먹는다.

업계는 올해 전체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10조원 돌파를 넘어 12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사업자 선정이 연기되면 내년 면세점 시장의 성장은 정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면세점 사업자 추가 선정은 그동안 면세점 사업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경험을 축적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였다”며 “이런 중요한 시기에 사업자 선정이 연기 또는 중단될 경우 면세점 시장의 양적·질적 축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SK네트웍스는 지난해 워커힐면세점이 사업자 재선정에서 탈락하면서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의 올해 가장 큰 숙제가 면세점 특허 획득이었다는 점에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다. 실제로 3분기 워커힐 사업부문은 면세사업 중단의 영향으로 매출과 이익이 급감했다.

최 회장은 지난 9월 워커힐 투자계획을 논의하는 이사회 자리에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차별화된 한류 관광 쇼핑 모델을 만들어 반드시 특허를 획득할 것”이라며 “워커힐 전체 매출을 향후 3년내 연간 1조원대로 키우겠다”고 말할 만큼 면세점 특허 재취득 의지가 강했다.

하지만 ‘다 된 면세점'에 '최순실 게이트’의 재가 뿌려지면서 동양매직 인수를 시작으로 속도를 냈던 SK네트웍스의 사업구조 재편도 가시밭길이 예상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면세점 경영 노하우가 있는 업체들의 시장 재진입 필요성을 제기해왔다. 특히 최근 문을 연 신규 면세점들의 ‘적자 주범’이 송객 수수료라고 지적하고 있다.

송객 수수료는 면세점들이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유치할 때 중국 여행사들에게 지급하는 비용이다. 면세점들의 매출액 중에서 많게는 30%에 달하는 금액이 송객 수수료로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쓰고 가는 금액의 상당부분이 다시금 중국 여행사에 주는 수수료로 나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송객 수수료에 의존하는 면세점 업계의 현실을 탈피해야 한다”며 “이에 적자 운영을 면치 못하는 신규 면세점과 달리 매력적인 인프라 구축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기업들의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관세청은 이 같은 논란에도 연말 면세점 특허 심사와 발표 일정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이다. 관세청은 최근 입찰 신청기업들에게 사외이사 명단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를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면세점 사업은 중국·일본·동남아 등 관광객 유치에 필수적이며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넘어 국내 관광산업 경쟁력 향상의 열쇠”라며 “의혹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겠지만 이를 국익차원에서 판단해 국가 경제의 발목을 잡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광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