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탈당' 남경필 "서청원 정계 은퇴하라


입력 2016.11.22 13:09 수정 2016.11.22 13:10        문대현 기자

"서청원, 밤의 세계에서 조직폭력배나 하는 모습 보여"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김용태 새누리당 의원이 22일 국회 정론관에서 새누리당 탈당을 선언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에 대처하는 새누리당의 방식에 반발한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22일 탈당을 하겠다고 밝히며 '친박 좌장' 서청원 전 최고위원을 향해 "정계를 은퇴하라"고 요구했다.

남 지사는 이날 오전 비박계 김용태 의원과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은 정당다움을 잃어 버렸다. 새누리당으로는 자유와 나눔, 배려의 가치 그리고 미래비전을 담아낼 수 없다"며 탈당을 선언했다.

남 지사는 "대한민국이 국가다움을 잃어가고 있고 대통령은 국민의 마음에서 지워진지 오래다. 민주주의를 지켜나갈 의지도 능력도 없다"며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은 정당다움을 잃어버렸다. 새누리당으로는 자유와 나눔, 배려의 가치, 미래 비전을 담아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는 국가다워야 한다. 국가는 국민을 위해 공익을 앞세워야 한다. 집권세력과 특정 지배층의 사익을 채우는 도구가 돼선 안된다"며 "정당은 정당다워야 한다. 정당이 특정인이나 특정세력의 사익을 위해 존재하는 순간 그 정당의 존재 이유는 사라지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헌법의 최종 수호자인 대통령이 민주주의 공적 기구를 사유화하고 자유 시장 경제를 파괴했다. 공직자들의 영혼과 자존심을 짓밟으며 이들을 범법 행위로 내몰았다"며 "기업 돈을 갈취하고 사기업을 강탈하는 데 공모했다. 새누리당은 이런 대통령을 막기는 커녕 방조하고 조장하고 비호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죽은 죄를 지었다고 자복하고 처벌을 기다려도 모자랄 판이다. 그런데 고개를 빳빳이 들고 내가 뭘 잘못했냐고 기고만장하다. 벌인 죄도 기가 막히건만 시치미를 떼고 도리어 역정을 내는 대통령과 새누리당 지도부에 국민들은 절망하고 있다"며 "모든 책임은 정치권이 져야 하지만 국회 제1당이자 집권당인 새누리당은 책임을 질 의지와 자격이 없다"고 분노했다.

이어 "나와 남경필 지사는 지금 새누리당을 나가 진정한 보수의 중심을 다시 세우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공부 열심히 해서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아이들에게 얘기할 수 있는 사회, 열심히 일하면 좋은 날 있을 거라고 젊은이들에게 말할 수 있는 세상, 특권과 반칙, 기득권과 차별 없는 나라를 만드는 데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김용태 새누리당 의원이 22일 국회 정론관에서 새누리당 탈당을 선언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서청원, 조직폭력배처럼 여당 의원 협박해"

남 지사는 이후 추가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서 전 최고위원을 향해 "조직폭력배 짓 그만두고 정계 은퇴하라"고 맹비난했다.

남 지사는 "서 전 최고위원은 정계 은퇴를 선언해야 한다. 후배 의원들을 모욕하고 또 다음날 회유하는 것은 밤의 세계에서 조직폭력배나 하는 모습"이라며 "온갖 회유와 압박으로 새누리당 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차라리 얼굴을 드러내 국민 앞에 당당하게 말해야 한다. 뒤에서 마치 군사정부 시절처럼 회유와 압박을 하는 모습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정현 대표는 서 전 최고위원의 발언을 그대로 받아 비주류 의원들을 공격하고 있다"며 "또 다른 최고위원들도 이와 비슷하게 공격하는 모습을 보며 지도부가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판단이 든다"고 주장했다.

남 지사는 서 전 최고위원과의 구체적인 통화 내역과 시점에 대해서 밝히지는 않으며 "협박이란 표현보다는 모욕이 가깝다. 구체적인 말 하나하나까진 밝히고 싶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달 31일 국회의장 주재 중진 만찬 회동 자리에서 서 전 최고위원이 비박계 정병국·나경원 의원에게 '전쟁하자는 것이냐'고 말한 보도를 언급하며 "지금 이 시대 새누리당 지도자들이 서로 간에 할 말은 아니다. 조직폭력배들에게나 있을 말"이라고 재차 비판했다.

문대현 기자 (eggod6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문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