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3당, 국무총리 '인사청문회 보이콧' 합의
야3당 "청와대의 일방적 개각, 인사청문회 절차 응할 수 없어"
야3당 "청와대의 일방적 개각, 인사청문회 절차 응할 수 없어"
야3당은 2일 야당과 논의 없이 발표한 정부의 개각은 인정할 수 없다며 개각 철회를 요구했다.
야3당은 이날 청와대 개각 발표에 따른 공동 대응을 위한 회동 뒤 이같이 밝히고 국회에서 실시하게 될 국무총리 인사청문회 절차에도 응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국회법 제46조 3항에 따르면 대법원장·헌법재판소장·국무총리·감사원장 및 대법관과 국회에서 선출하는 헌법재판소 재판관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등의 임명을 위해선 국회의 동의가 필수다. 특히 대통령이 국무총리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실시를 요청하는 경우엔 이를 위해 여야 13명의 의원들로 구성된 별도의 '인사청문특별위원회'를 구성하게 돼 있다.
하지만 '여소야대' 상황에서 야당은 해당 위원회 구성부터 보이콧하며 정부를 압박하겠다는 의도로 파악된다. 이날 회동에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야당과 언론 그리고 국민이 그렇게 요구했던 거국내각, 책임총리 등을 야당과 소통해서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외면하고 난데없이 개각을 했다"면서 "야당이 논의한 결과 야3당은 인사청문회 자체부터 보이콧하는 방향으로 나가자고 의견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여야가 어떤 대화도 나누지 못한 상태에서 박 대통령은 여야 대표가 모두 모르게 개각을 단행했다"면서 "민주당은 의원총회를 열고 이번 개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입장을 정리했다"고 개각을 인정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또한 "정의당 또한 도발적인 국무위원 추천을 거부한다"며 "국민이 기댈 곳은 청와대도, 껍데기 내각도, 새누리당도 아니고 국회 내에는 야당밖에 없다고 생각된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김병준 신임 국무총리 내정자는 이날 국정운영 방향 및 야당의 청문회 거부 등 현안에 대해 오는 3일 별도 회견을 갖고 입장을 발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