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포스코·현대제철, 통상대응 조직 역량↑…보호무역 ‘맞대응’


입력 2016.09.17 09:00 수정 2016.09.18 11:10        이광영 기자

포스코, 통상그룹 인력 보강…회장 직속기구에 설치 검토

현대제철, 팀체제→실체제로 통상대응 조직 역할 격상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최근 통상대응 조직 역량강화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맞대응하고 있다. 사진은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3사 로고.ⓒ각사 홈페이지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대응 조직 역량을 강화한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통상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인력 충원 및 역할 격상 등 조직개편을 조만간 단행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2013년 철강사업본부 내 철강사업전략실에 무역통상그룹을 신설한 바 있다. 기존 해외마케팅실 내 조직을 확대·강화해 현재 20명가량 직원들이 대응에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통상그룹 인력을 7~8명 보강해 회장 직속기구인 가치경영센터 내 설치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며 “현대제철과 마찬가지로 통상부문 조직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포스코 가치경영센터는 그룹의 경영전략과 재무를 담당하는 권오준 포스코 회장의 직속기구로 사내이사이자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최정우 부사장이 수장을 맡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예전부터 통상대응 조직을 확대해온 바 있다”며 “향후 조직개편에 대해 구체적으로 얘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올해 들어 열연, 냉연 등 제품에 ‘관세폭탄’을 직격으로 맞았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5일 포스코 열연강판 제품에 반덤핑 관세율 3.89%, 상계관세율 57.04%를 적용했다. 중국도 지난 7월 23일 향후 5년 간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GOES) 제품에 37.3%의 반덤핑 관세를 물리기로 결정했다.

인도 역시 포스코 열연강판 제품에 45~55%의 관세율을 부과하는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렸다. 각국의 반덤핑 규제의 타깃이 되면서 포스코 통상부문 조직에 책임론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업계 관계자는 “앞서 미국 측의 반덤핑 조사과정에서 포스코가 AFA(Adverse Facts Available·대체가능 가용정보) 판정 기법을 적용받아 높은 상계관세를 부과 받았다”며 “미국이 AFA를 남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포스코가 다소 억울한 면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대응이 아쉬웠다는 지적이 있어 통상부문 강화 결단을 내렸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포스코는 최근 미국의 열연강판 반덤핑 관세조치에 미국 무역법원 항소 및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검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이 같은 피제소 맞대응이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17일 영업본부 내 통상전략실을 신설해 경영관리실장을 역임했던 김경석 이사를 실장으로 발령냈다. 통상대응 조직이 기존 팀체제에서 실체제로 역할이 격상된 것은 물론 조직의 규모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에서 튀어나온 관세 유탄을 잇달아 얻어맞고 있는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직을 세분화한 것”이라며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통상문제를 철저히 준비해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반면 동국제강은 통상부문 인력 충원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동국제강은 포스코, 현대제철과 달리 통상 규제에 적용되지 않는 품목이 많아 큰 타격을 입지 않았다”며 “다만,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언제든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려면 조직을 양적·질적으로 강화시키는 방침이 바람직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철강업계는 통상부문 조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내년부터 논의될 중국산 H형강 반덤핑 규제 연장 및 철근·후판의 반덤핑 제소 이슈에도 여력을 쏟겠다는 방침이다.

이광영 기자 (gwang0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광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