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 설립? 상처 치유가 방점"


입력 2016.06.01 14:24 수정 2016.06.01 14:24        하윤아 기자

김태현 준비위원장 '치유금' 발언 논란에 "치유사업에 쓰이는 것 강조했다"

우안부 피해자 지원재단 설립위원장을 맡은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가 1일 재단 설립과 관련해 "치유가 방점"이라고 말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일본 정부가 지난해 말 합의에 따라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에 10억엔을 출연키로 한 것과 관련,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 설립준비위원장을 맡은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가 “배상금이 아닌 치유금”이라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김 교수는 1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치유사업에 쓰이는 것을 강조한 것은 분명하다”며 “치유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가야할 방향은 우리 내부에서의 화해 그리고 한일 간의 화해이기 때문에 치유가 방점이라고 하는 것을 강조했다”고 해명했다.

김 교수는 “할머님들이 무엇을 정말로 원하는지 그리고 그분들의 마음의 상처를 어떻게 치유할 것인지에 대해 초점을 둬야 한다”며 “일본 정부 자체가 과거에는 사죄 표현도 안 썼는데,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이라고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지원 재단은 지난해 12월 28일 한일합의 당시 일본의 사죄 표명을 뒷받침하는 핵심 이행 조치로,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 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그간 일본 정부의 출연금과 관련해 우리 정부가 ‘배상금’의 의미로 해석해온 데 대해서는 “정부에서도 배상금이라고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사실상 배상 조치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일본 측이 지원 재단 설립을 전후로 소녀상 철거를 거론할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우려와 관련, “(재단 출연금과) 소녀상을 연결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일본과도 합의할 때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민간단체와 대화하겠다고 했지, 정부가 펴겠다는 말은 안 했다”고 부연했다.

한편, 김 교수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거주하는 쉼터를 운영 중인 일부 단체를 향해 “대승적 차원에서 단체와 함께 거주하는 할머님들을 뵐 수 있도록 문을 열어주면 감사하겠다. 접근하기가 매우 어렵다”면서 “문을 열고 말씀을 나누고 싶은 것이 저의 충정”이라고 말했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