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해 줄이자" 서울·수도권 공해차량 제한 협의
경유 차량 운행제한, 매연저감장치 설치 등 저공해화 방안 논의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가 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자체와 공해차량 운행제한 협의에 나섰다.
26일 서울시는 공해의 주범인 낡은 경유 차량 운행을 제한하고, 매연저감장치 등을 달아 저공해화 하는 방안을 경기도·인천시·환경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지난 주말 발생했던 미세먼지의 59%는 중국 몽골에서 유입됐으며 나머지 41%는 수도권과 서울시내에서 유발됐다. 이에 서울시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면서도 지자체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앞서 시내버스를 모두 오염물질을 내뿜지 않는 압축천연가스(CNG)버스로 교체했지만 아직 경기도와 인천에서는 경유버스 1756대가 여전히 운행되고 있다. 경기도와 인천시도 공해차량 운행 중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비용 등 문제로 쉽사리 시행에 나서지는 못하는 형편이다.
또 서울시는 저공해화를 하지 않은 노후 경유차를 단속하고 있지만 경기도와 인천시 소속 공해차량은 서울 도로를 달려도 단속할 근거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시점에서 2005년 이전에 출시된 2.5t 이상 경유 차량을 저공해차량으로 업그레이드하도록 지원하는 비용은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의회 등에서도 차량 부제를 강화하는 등 강력 대응하라고 주문하지만 미세먼지 유입 경로를 감안하면 그런 조치를 해도 효과가 크지 않다는 것이 딜레마"라며 "시민이 생활 불편을 감수하고 정책에 응했는데 별다른 변화가 없다면 오히려 반발이 나올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매체를 통해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