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연합 자금지원? 과거 진보단체도 새삼 '주목'
민노총·참여연대·환경단체 등…지자체, 기업 등에 지원받아, 이들도 다수 집회시위 참여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보수단체인 어버이연합을 지원했다는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진보단체에 대한 지자체 혹인 민간기업 차원의 과거 지원 사례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과거부터 시민단체에 대한 지원은 일상적인 사례였다.
서울시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서울본부의 새 사무실 리모델링 비용 35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민주노총은 지난 2011년 10월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시장을 공개지지하면서 박 시장 당선된 이후 서울시 소유인 불광동 강북근로자복지관에 입주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서울시는 민주노총으로부터 사무실 임대료를 받지 않았다. 서울시가 사무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한 것이다.
노무현 정부 시절 김용태 한나라당 의원은 노무현 정부 및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취업 현황·월 급여’를 공개하며 좌파시민 활동가와 시민단체들의 이중성을 비난한 바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자료에 따르면 최모 환경재단 대표는 기아차 사외이사로서의 연봉과 이사회 출석시 거마비, 현대산업개발 사외이사로서의 연봉 등 월평균 850만원을 수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원순 시장도 포스코 사외이사, 웅진 비상임이사, 풀무원홀딩스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하면서 당시 월평균 626만원 가량을 수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SK그룹은 참여연대 사무실 이전 당시 이전비용으로 2000만 원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산그룹은 1991년 두산전자 구미공장 '페놀오염’ 사고 이후 환경연합·환경재단 등에 500만원에서 1000만 원씩 부정기적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단체들도 이라크파병 반대, 한미FTA반대, 평택미군기지확대 반대 등 다양한 시위에 참여한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