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차 핵실험, 지하핵실험 가능성…예의주시"
청와대·국방부·통일부, 5차 핵실험 언급
"지난달 15일 김정은 공개지시한 추가 핵실험 일정 따라가는 모양"
정부가 북한의 5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지하에서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감시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북한이 지난 4차 핵실험을 기습적으로 감행했을 당시 북핵 실험을 사전에 감지하지 못했다고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지난달 15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로켓 전투부 첨두 대기권 재돌입 모의시험 지도 소식을 전하면서 "빠른 시일 안에 핵탄두 폭발 시험과 핵탄두 장착 가능한 탄도 로켓 시험 발사를 단행하라"는 김정은의 지시를 공개적으로 전한 바 있어 정부가 이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최근 5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 포착되고 있다"면서 "북한이 고립 회피와 체제 결속을 위해 어떤 돌발적 도발을 감행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 내부의 대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 3월 15일 김정은이 북한에 핵 탄두 폭발 시험을 진행하라고 지시한 바 있고 그러한 일환으로 여러 가지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북한은 5차 핵실험을 언제든지 할 수 있는 상태다. 북한 풍계리 일대에 대해 면밀하게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변인은 "국방부 장관은 핵탄구 폭발을 지하에서 하는 가능성과 핵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핵탄두를 폭발하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는데 지금 현재 움직이는 동향들을 보면 지하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그렇게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5차 핵실험 등 여러 가지 도발 가능성이 예고되고 있는 상황인"이라면서 "지난달 중순께 김정은이 도발을 지시한 바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일정을 진행하혀고 하는 게 아닌가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