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황진하-홍문표, 공관위서 비박학살 합의해놓고 딴소리?


입력 2016.03.17 13:42 수정 2016.03.17 17:37        고수정 기자

공관위 외부 위원 "황-홍, 사전에 합의 부탁해와"

비난 일자 ‘만장일치’ 부인 "김 대표 지시 따른 것"

이한구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과 공관위원들이 15일 저녁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7차 경선지역 및 단수 우선추천지역을 발표하기 위해 브리핑룸으로 들어서고 있다. 왼쪽부터 박종희, 김회선 위원, 이한구 위원장, 홍문표 위원, 황진하 부위원장. (자료사진)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새누리당의 4·13 총선 공천을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의 갈등이 폭발한 가운데, 공천관리위원회도 내홍에 휩싸였다. 김무성 대표가 자신의 측근인 황진하 사무총장과 홍문표 제2사무부총장 등 내부위원들을 통해 공관위 활동에 관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 대표가 정치적 명운을 걸고 관철한 ‘상향식 공천 원칙’을 스스로 퇴색시켰다는 비난이 공관위 내부에서 일고 있다.

17일 공관위의 A 외부위원 제보에 따르면 이틀 전인 15일 공관위가 발표한 이른바 ‘비박계 공천 학살’ 내용은 황 총장과 홍 부총장 등 내부위원들과 이 위원장이 사전에 합의, 외부위원들에게 양해를 구해 만장일치로 확정했다.

내부위원들의 설득 명분은 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 관련 내용에 대해 공관위에서 논쟁이 지속되자, 이 위원장은 내부위원들과 회의해 결론을 내렸다. 공관위의 내부위원은 이 위원장을 비롯해 황 총장, 홍 부총장, 박종희 제2사무부총장, 김회선 의원 등 5명이며, 외부위원은 김순희·한무경·이욱한·김용하·최공재·박주희 등 6명이다.

하지만 발표 다음 날 공천 결과와 관련해 예상과 달리 김 대표와 비박계를 향한 비난이 쏟아지자, 합의를 주도한 내부위원들이 말을 바꿨다는 주장이다. 김 대표가 긴급 기자 간담회를 열고 공관위가 단수추천지역으로 결정한 11개 지역 중 7곳에 대해 최고위 의결을 보류하고 주호영 의원에 대해서는 공관위에 재의를 요구하자 공관위의 내분이 더욱 심해졌다고 했다.

A 외부위원은 “우리는 내부위원들이 간곡하게 부탁을 하니까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있었음에도 따랐다”며 “그런데 내부위원들이 갑자기 16일 회의에 들어와서 ‘자기들은 합의 한 적 없다’라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했다”고 주장했다.

또 “김 대표가 살생부 사건 이후로 공관위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내부위원들이 김 대표의 명령에 따라 판을 엎은 상황”이라며 “그래서 이 위원장은 화가 났고, 외부위원들은 그런 내부위원들한테 화가 나 이 위원장과 우리가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면서 회의가 파행됐다”고도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 위원장은 “전쟁하겠다”고 불쾌함을 드러냈고, 다음 날 열릴 최고위에 항의차 방문키로 했다. 이 위원장은 김 대표의 기자 간담회 직후 “공관위가 당헌·당규를 위반하고 임의로 결정하는 듯한 부분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그 결정은 (김 대표 측인) 사무총장과 부총장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결정됐다”고 반박한 바 있다.

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김 대표와 황 사무총장은 공관위 회의 파행 직후 만났다. 이후 당 공보실은 오후 9시 33분께 기자들에게 17일 최고위 취소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최고위가 별다른 이유 없이 취소되자 이 위원장과 외부위원들은 17일 2시 열릴 회의에서 내부위원들의 입장을 듣고 향후 행동을 결정하기로 했다. 최악의 경우 ‘보이콧’도 거론되고 있다. A 외부위원은 “김 대표가 최고위를 취소해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며 “다만 이날 공관위 회의에서 반대를 위한 반대, 김 대표가 엎으려는 모양새면 공관위 활동을 모두 접어버리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원유철 원내대표는 17일 브리핑을 열고 “김 대표의 전날 기자 간담회는 적절하지 못하다. 최고위에 사과해야 한다”고 했고, 김 대표는 “사과할 일이 아니다”라고 응수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