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 바이러스 검역 강화 '이번엔 호락호락하지 않다'
공항·항만 입국자 감시체계 가동, 수입 동식물 등에 검역 강화 등
지카바이러스 위협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강화된 검역 조치를 내놓았다.
3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을 주재로 지카바이러스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어 검역 강화 조치를 논의했다.
이 실장은 "지카 바이러스 관련 예방 수칙과 최신 질병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 하겠다"며 "정부는 국제공조 및 공항·항만 감시체계를 가동하고, 방역조치 및 수입 동식물 등에 대한 검역을 강화해 국내 유입을 차단하겠다"고 전했다.
전해진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국제보건기구(WHO)와 감염병 발생국가 등과의 정보공유를 강화하며, 위험국가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해 발열 등 의심증상이 포착될 경우 역학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모기 유충 유입을 차단하기위해 목재·묘목 등 수입식물에 대한 검역도 확대하며, 의료기관에 의심환자가 진료할 경우 반드시 신고하도록 하고 검체를 채취한 후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검사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조해 모기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고 당초 2017년에 실시될 예정이었던 전국 모기 일제조사를 올해 조기 실시하기로 했다. 이에 광주, 통영 등 일부 지자체는 모기의 주요 서식지인 화장실과 공중목욕탕의 지하실 및 정화조, 집수정 등 유충구제 방역에 착수했다.
이외 위험지역 출국자를 대상으로 안내메시지 전송,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등을 통한 발생국가에 대한 최신 정보와 행동수칙 게시, 임산부 보호 진료가이드라인 제작·배포 등의 조치도 시행된다.
이 실장은 "지카바이러스 발병 지역을 방문하거나 방문 예정인 국민 여러분은 물론 의료기관 종사자들도 행동수칙을 잘 준수해,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호 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