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양 약속하고 무관심에 막말…"조건부 증여, 계약해제 가능"
부모를 잘 모시는 조건으로 부동산을 물려받은 아들이 약속을 어겼다면 재산을 다시 돌려줘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3부(주심 김신 대법관)는 A씨가 아들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피고는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의 말소절차를 이행하라"며 원고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A씨는 지난 2003년 12월 대지 350여㎡에 세워진 2층짜리 단독주택을 아들에게 증여했다. A씨는 주택 외에도 임야 3필지와 주식을 넘겼고 부동산을 팔아 아들 회사의 빚을 갚아줬다. 아들이 외국출장을 오갈 때마다 대면해 기도해주는 등 물심양면으로 보살폈다.
아들은 '아버지와 같은 집에 함께 살며 부모를 충실히 부양한다. 불이행을 이유로 한 계약해제나 다른 조치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각서를 썼다. 이후 A씨 부부는 2층에, 아들은 1층에 살았다.
그러나 아들은 재산을 물려 받은 후 달라졌다. 한 집에 살면서 식사도 함께하지 않았고 몸이 편 찮은 모친의 간병은 따로 사는 누나와 가사 도우미가 맡았다. 아들은 급기야 A씨 부부에게 요양시설을 권했다.
A씨는 주택을 매각해 부부가 생활할 아파트를 마련하겠다며 등기를 다시 이전해달라고 요구했다. 아들은 "천년만년 살 것도 아닌데 아파트가 왜 필요하느냐"고 막말을 했다. A씨는 결국 딸네 집으로 거처를 옮긴 뒤 아들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법원은 아들이 서면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기 때문에 집을 돌려줘야 한다고 판단했다. 직계혈족 부양의무가 이미 민법에 규정된 만큼 '충실히 부양한다'는 조건은 일반적 수준의 부양을 넘어선 것이라고 해석했다.
법원은 12년 전 부동산을 넘긴 게 단순 증여가 아니라 받는 쪽이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부담부 증여'라고 봤다. 그러면서 "상대방이 부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때는 증여계약이 이행됐더라도 해제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부양의무를 이행했다고 볼 근거가 없고 오히려 패륜적인 말과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부모가 부동산 소유권을 다시 찾아올 수 있다는 판결"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