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서스5X' 제2의 루나폰 될까? 이통사 파격 지원
SKT 최대 지원금 33만원 지원
KT-LGU+, 출고가 3만3000원 인하
구글 '넥서스5X'가 이동통신3사를 통해 출시된 가운데, 가격이 각각 달라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각 업체는 단말 보조금(지원금)은 물론 출고가도 서로 다르게 책정하며 차별화 마케팅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이통사가 전용폰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비를 들여 출고가를 낮춘 것은 이례적이라는 분위기다.
21일 LG유플러스를 끝으로 이통3사는 넥서스5X의 출고가와 지원금을 공개했다. SK텔레콤은 넥서스5X에 월정액 10만원 요금제 기준, 33만원 지원금을 책정했다. 33만원은 공시지원금 상한선이다. 월정액 6만원대 요금제 기준 22만4000원을 제공한다. 넥서스5X의 출고가는 16GB 50만8200원, 32GB 56만8700원이다.
KT는 출고가로 승부수를 띄웠다. 이 회사는 기존 넥서스5X 출고가를 3만3000원 인하했다. 지원금은 경쟁사와 비슷한 수준이다. 월정액 10만원 요금제 기준 24만2000원, 6만원대 요금제에는 21만2000원을 지원금으로 책정했다. 실판매가는 19만~40만원에 형성됐다.
가장 뒤늦게 출고가와 지원금을 공개한 LG유플러스는 KT와 동일하게 가격을 책정했다. KT가 자비로 출고가를 낮추는 강수를 두자, 고민 끝에 따라간 것으로 풀이된다. 이통사들이 전용폰도 아닌 넥서스5X에 최대지원금과 출고가 인하로 공을 들이는 것은, 중저가폰의 인기가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가입자를 한 명이라도 더 끌어오기 위해 특색있는 중저가폰이 필요한 이통사들이, 가격대비 성능 최고라는 평을 받고 있는 '넥서스' 의 가치를 재발견한 셈이다. 이통사 기대주인 넥서스5X가 '아이폰6S' 경쟁에서 밀리지 않고 제2의 '루나'폰이 될 수 있을지 기대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